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中 요소 수입 88%→12% 줄었는데…업계 "중국 의존 다시 커질듯"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해 12월 울산광역시 울산항에서 롯데정밀화학 직원들이 베트남에서 수입한 요소를 롯데정밀화학 공장에 입고하고 있다. 롯데정밀화학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말 중국이 요소수의 핵심 원재료인 요소 수출을 제한하면서 중국산 요소 수입 비중이 88%에서 10%대로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베트남·일본 등 제3국에서 들어온 요소 비중이 커지면서 수입선이 다양해졌다. 다만 업계에선 가격 경쟁력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다시 중국에 의존 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중앙일보

김주원 기자


17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1분기(1~3월) 산업·차량용 요소 수입국 비중(중량 기준)은 베트남이 65.6%로 가장 많았다. 중국 비중은 12.6%로 2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일본(7.4%), 카타르(7.2%), 인도네시아(4.4%), 사우디아라비아(2.7%) 순이었다. 요소는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줄여주는 요소수의 원재료다.

중국 의존도가 80%대에 달했던 이전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중국산 요소는 2019년 89.3%, 2020년 88.5%, 2021년 83.4%, 2022년 71.7%, 2023년 88.1% 등 매년 전체 수입량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해왔다. 2021년 11월 중국발(發) 요소수 대란이 벌어졌지만, 이후에도 중국 의존 현상은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올해 중국산 비중이 크게 떨어진 것은 중국을 대신한 제3국으로부터의 요소 수입이 연초에 집중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중국은 ‘내수 시장 안정’을 이유로 통관 과정에서 요소 수출을 제한했고,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정부와 업계는 베트남·일본 등에서 요소를 대량 들여왔다. 그 결과 올해 1분기 기준 요소 수입국이 예년과 비교해 다양해질 수 있었던 것이다.

중앙일보

지난 2월 전북 익산 요소수 생산업체 아톤산업에 공급된 600t 분량의 베트남산 요소. 익산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중국에 대한 자원 의존도를 계속해서 낮추겠다는 입장이지만, 요소수 업계에선 이같은 흐름이 지속할지에 회의적인 분위기다. 중국산 요소의 가격 경쟁력이 다른 나라보다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역통계상 각국 수출량 대비 수출액을 산출해보니 중국산 요소는 ㎏당 0.418달러인 반면, 베트남산은 0.442달러, 일본산은 0.59달러로 더 비싸게 나타났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중국산 비중이 다시 자연스럽게 커질 수밖에 없다고 예상한다. 요소 뿐만 아니라 화학 비료에 쓰이는 인산이암모늄, 디스플레이 제조에 활용되는 갈륨, 음극재 핵심소재인 흑연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다른 주요 자원들에도 해당되는 얘기다. 익명을 원한 업계 관계자는 “업계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가격 경쟁력도 좋고 물류적으로도 가까운 중국산을 쓰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며 “강력한 인센티브 없인 중국산 이외의 요소를 선택하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25일 서울에서 열린 8대 산업 공급망 선도 프로젝트 이행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최근 민관 협의체인 ‘요소 공급망 얼라이언스’를 구성하고 국내에서 직접 요소를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국내에서 요소를 생산하는 기업에 재정·세제 등 종합적인 지원을 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부는 오는 6월 ‘공급망 안정화 기본법’ 시행 시점에 맞춰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김종주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공급망정책과장은 “자원 다변화는 경제적 비용만 고려해선 안 되고, 사회적 비용과 필수적인 국민 생활 측면까지 고려해야 하는 문제”라며 “기업들과 함께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부로 한국에서 발효된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공급망 협정(필라2)도 ‘제2의 요소 대란’을 막는 데 기여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공급망 위기 발생 시 미국·일본·호주·베트남 등 14개 회원국이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위기 대응 네트워크’를 가동해 대체 공급처와 운송 경로를 찾고, 신속한 통관을 진행하는 것이 골자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산업공급망 정책을 지원하는 공급망 통상정책이 필요한바, 이에 따른 IPEF 공급망 협정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나상현 기자 na.sanghyeo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