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차세대 스마트폰

“비싼데 자주 고장나더니”…1년새 성장률 전망 ‘반토막’ 폴더블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전 세계 폴더블폰 시장 성장률이 크게 둔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2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세계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대비 25% 늘어난 1590만대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1.4%에 해당하는 수치다.

폴더블폰을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내놓은 삼성전자 점유율은 66.4%로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다만 2022년 점유율(80%) 대비 1년 새 13.6%포인트(P) 줄었다.

이어 중국의 화웨이가 11.9%로 2위를 차지했다. 샤오미와 오포, 비보 등 다른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이 177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출하량 증가율은 지난해(25%)의 절반도 안되는 11% 수준에 그치며, 시장의 기대보다 더딜 것이라고 분석했다.

폴더블폰에 대한 시장의 수요와 기대가 식어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렌드포스는 폴더블폰 시장의 성장이 더뎌지는 이유로 폰의 잦은 고장과 높은 가격을 꼽았다. 이에 따라 전체 스마트폰 중 폴더블폰 비중은 내년이 돼야 2%를 겨우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폴더블폰 점유율은 60.4%, 화웨이는 19.5%로 예상된다.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폴더블 스마트폰을 하나둘씩 선보이는 가운데 트렌드포스는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에 참가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트렌드드포스는 다만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에 진출할 경우 시장 성장을 크게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진단이 많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