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신석기 시대 집터 무더기 발굴된 김포…문화유산 지정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집터 35기 나온 신안리서 추가 발굴 조사…유적공원도 조성

연합뉴스

신석기 시대 집터 유적이 무더기로 발굴된 김포 신안리 일대
[김포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포=연합뉴스) 홍현기 기자 = 경기 김포에서 무더기로 발굴된 신석기 시대 집터 유적을 경기도 문화유산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김포시는 신안리 신석기 유적의 문화유산 지정을 경기도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사적 덕포진 인근 신안리 일대 4천40㎡에서는 지난 2019∼2022년 조사 과정에서 신석기 시대 집터 35기와 함께 빗살무늬토기·갈돌·갈판 등 유물 261점이 무더기로 발굴됐다.

한강 하류 일대에서 신석기 시대 집터가 이처럼 높은 밀도로 발굴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김포시는 설명했다.

김포에서 발굴된 집터 규모는 가로 3.5∼6.4m, 세로 3.8∼5.4m로 다양했으며 출입구 등 집 구조물도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었다.

신석기 전기와 중기(기원전 3천700년∼3천400년) 유적으로 추정되는 집터 내부에서는 불탄 기둥, 불 땐 자리, 기둥 구멍 등 흔적도 확인됐다.

그동안 국내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 집터 대부분은 깊이가 50㎝ 수준인데, 신안리 집터들은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아 깊이가 최대 1m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포시는 올해 신안리 일대 1천200㎡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를 진행할 방침이어서 더 많은 유적이 발견될 가능성도 높다.

유적 발굴을 담당한 최기식 경강문화재연구원 조사2부장은 "신안리 신석기 유적은 원형 형태를 간직한 비율이 높고 옛 생활상을 엿볼 수 있어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다"며 "추가 발굴 조사 결과에 따라 온전한 집터 형태가 남아 있는 국내 최대 신석기 유적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포시는 올해 발굴조사와 함께 신안리 신석기 유적을 주제로 학술 세미나도 개최하면서 하반기 경기도에 문화유산 지정을 신청할 방침이다.

또 서울 암사동, 경기 오이도, 강원 오산리 선사유적지 사례를 참고해 신안리 일대에 유적공원과 전시관을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김포시 관계자는 "신안리 유적은 김포의 유구한 역사를 보여준다"며 "유적공원과 전시관을 조성해 시민들에게 선사시대 체험과 역사교육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신안리에서 발굴된 갈돌과 빗살무늬토기
[김포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o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