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천하의 애플도 자율주행 포기 수순... "애플카, 2028년으로 출시 더 연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블룸버그 "애플, 출시 2년 더 미루고
자율주행 수준은 4단계→2단계로"
한국일보

애플이 개발 중인 '애플카' 예상 이미지. 유튜브 슈퍼카블론디 영상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애플이 개발 중인 전기차, 이른바 '애플카' 출시가 당초 계획보다 2년 더 늦어진 2028년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자율주행 단계도 테슬라의 주행보조시스템(오토 파일럿) 수준으로 확 내리기로 했다. 세계 최고 테크기업 중 하나인 애플마저 자율주행 실현을 사실상 포기한 것이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내부적으로 '프로젝트 타이탄'이라 부르는 애플카 개발 계획을 최근 대폭 수정했다. 자율주행 수준을 2단계와 3단계 사이쯤으로 낮추고, 출시 일정을 기존 2026년에서 2028년으로 미루는 것이 골자다. 새 전략은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케빈 린치 프로젝트 책임자와 애플 이사회 등의 열띤 토론 끝에 결정됐다고 한다. 블룸버그는 "애플카 개발 과정에 있어 중추적 순간"이라며 "최고경영진이 프로젝트의 존재를 심각하게 재고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개발 착수 10년... 출시 일정만 두 차례 연기


애플이 애플카 개발에 착수한 건 10년 전인 2014년이다. 처음 계획은 운전대와 페달 자체가 필요 없는 완전 자율주행 구현이었다. 업계에선 자율주행의 수준을 운전자가 주행의 모든 것을 통제하는 0단계(전통적 운전방식)부터 5단계(완전 자율주행)까지 총 6개 단계로 나누는데, 애플카는 최고 수준인 5단계를 목표로 잡고 있었다. 5단계 자율주행은 △운전자가 필요 없고 △탑승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차가 알아서 움직이며 △어떤 조건에서도 차량 시스템이 운전을 담당한다. 그래서 가속·감속·조향 장치가 아예 불필요하다.

애플은 그러나 2022년 완전 자율주행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궤도를 수정했다. 운전대와 페달이 달리고, 고속도로에서만 제한적으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애플카를 개발하는 쪽으로 목표를 낮춰 잡은 것이다. 이와 함께 출시 일정도 당초 2025년에서 1년 연기했다.

'애플카=테슬라 모방품' 비판 불가피


이번 전략 수정은 기존 계획에서 또다시 후퇴한 것이다. 애플이 애플카의 새 목표로 잡은 자율주행 2단계는 현재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테슬라 오토파일럿과 같은 수준이다. 출시까지 4년이나 남은 것을 감안하면 목표대로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의미 있는 발전이라 보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애플 내부에선 테슬라 모방 제품일 뿐이라는 비판까지 나온다고 한다. 블룸버그는 "상당히 새로운 지평을 여는 제품은 아니다"라면서도 "애플은 세련된 디자인, 안전 시스템, 애플 특유의 사용자 환경으로 차별화하겠다는 계획"이라고 전했다.


실리콘밸리= 이서희 특파원 shle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