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목)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지난해 취업자 수 30만명 늘었지만…청년층·제조업 취업자는 줄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10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일자리 정보가 게시돼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1년 간 국내 취업자 수가 30만명 이상 늘었다. 이례적으로 취업자가 증가했던 전년과 비교하면 증가 폭은 50만명 가까이 축소됐다. 전체 고용률이나 실업률은 역대 가장 좋았지만 제조업이나 건설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핵심 연령층인 청장년층 취업자 수가 줄었다는 점에서 우려되는 점이 크다. 정부는 경기 침체 영향으로 올해 고용 시장이 더 위축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841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32만7000명 늘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2022년(81만6000명)보다 50만명 가까이 줄었다. 2022년은 코로나19 유행으로 저조했던 전년 기저효과와 방역조치 해제 효과가 겹치며 고용시장 지표가 이례적으로 좋았던 해였다.

취업자수가 22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던 2022년을 제외하고 보더라도 지난해 취업자수 증가 폭은 2021년(36만9000명)보다도 줄어들어 고용 시장이 계속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력 산업이나 핵심 연령대 취업자수가 감소했다. 경기 불황 영향이 컸다. 지난해 저조한 수출 탓에 제조업 취업자 수는 1년 새 4만3000명 줄었다. 2022년 13만5000명 증가했던 제조업 취업자 수는 1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감소폭도 2020년(-5만3000명) 이후 가장 컸다.

부동산 경기도 얼어 붙으면서 지난해 부동산업(-1만8000명)과 건설업(-9000명) 취업자 수도 전년 대비 감소했다. 도소매업 취업자도 3만7000명 줄었는데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구조적으로 거래 환경이 변화한 영향이 컸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018년부터 6년째 감소세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업(14만3000명)과 숙박 및 음식점엄(11만4000명) 취업자는 같은 기간 큰 폭 늘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돌봄 수요 증가, 일상 회복 영향으로 돌봄 관련 업종과 숙박·음식 관련된 업종(취업자)들이 증가한 부분이 (전체 취업자) 증가세를 견인했다”고 말했다.

연령별로는 주력 연령층인 20대 이하(-9만8000명)와 40대(-5만4000명) 취업자가 감소했다. 통계청은 이 연령대 인구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영향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취업자 수를 전체 인구로 나는 고용률(46.5%)도 전년 대비 0.1%포인트 줄었다. 정부는 20대 이하 고용률이 감소한 것은 지난해 호조세를 보였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가 작용했다고 밝혔다.

20대와 40대를 제외한 연령층에서는 취업자가 모두 늘었으며 특히 60세 이상(36만6000명) 취업자 증가 폭은 전체 취업자 증가폭을 웃돌 정도로 압도적이었다.

이처럼 보건·복지업과 고령층 위주로 취업자가 늘면서 전체 고용시장 자체는 호조세를 보였다. 지난해 15세 이상 고용률은 62.6%로 집계되면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업률(2.7%) 역시 역대 가장 낮았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작년보다 더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특히 부동산 경기 부진 흐름이 이어지는 점을 주 요인으로 꼽았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장기 추세로 복귀하며 2023년 대비 둔화해 23만명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만5000명 증가하면서 전월(27만7000명) 대비 증가 폭이 커졌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 수가 1만명 늘어 2022년 12월(8만6000명) 이후 12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연말로 접어들며 수출이 살아나면서 제조업 경기도 점차 회복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창준 기자 jchang@kyunghyang.com

▶ 플랫, ‘입주자 프로젝트’ <엄마 성 빛내기> 시작!!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