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0 (금)

이슈 국민연금 개편과 미래

국민연금 보험료율 마지노선 18%인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금연구회 주관 국회세미나 김태일 고려대 교수 발표

9%씩 18년 내고 매월 평균 소득의 40% 수급 불합리해

15% 천천히 인상 必 재정계산위 제안에 힘 실어

[이데일리 이지현 경계영 기자] 국민연금 보험료율 마지노선이 18%이지만 15%를 우선 목표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는 재정계산위원회가 공개한 18가지 국민연금 시나리오 중 가장 유력한 안과 일맥상통한다.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과 인재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조정훈 시대전환 의원이 공동주최하고 연금연구회가 주관한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나온 김태일 고려대 교수는 “보험료율을 18%보다 높게 올리는 건 정당성이 없다”고 말했다.

현재 연금보험료율은 9%다. 하지만 소득대체율은 40%에 이르고 있다. 한마디로 100만원을 버는 사람이 9만원씩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매달 40만원씩 받고 있는 셈이다.

이데일리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연금개혁 어떻게해야 성공하나’ 토론회의 모습.(사진=안철수 의원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태일 교수는 “연금 가입기간이 짧다 보니 현재 수급자 및 가까운 장래 수급자의 경우 낸 것보다 훨씬 많은 연금을 받는 구조”라며 “낸 보험료에 매년 5% 정도의 수익률이 붙을 때 소득대체율이 40%면 보험료는 18% 정도가 균형 보험료”라고 짚었다.

하지만 1999년부터 현재까지 25년간 소득의 9%로 동결된 상태다. 소득대체율 40%는 국민연금 가입자 평균소득(2023년 286만원) 기준 40년 가입을 가정해 설계됐지만, 실제 가입기간은 18년, 미래에도 25년 남짓한 상태다. 이렇다 보니 적게 내고 더 많이 받는 구조로 유지돼 자신이 매우 높은 수익을 올릴 자신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민간 개연연금보다 국민연금이 이득인 셈이다. 김 교수는 “우리 국민연금과 유사한 체계를 지닌 OECD 국가 중 우리처럼 소득대체율 대비 보험료가 낮은 국가가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18% 이상으로 올릴 경우 기금 운용수익보다 적게받을 수 있어 적절치 않다고 봤다. 김 교수는 “마지노선이 18%”라며 “이를 빨리 달성할수록 재정 안정성에 유리하지만 이번에 18%까지 올리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우선은 15%를 목표로 서서히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 이후에 다시 재정 지속가능성 논의가 필요하다”며 “국민연금 기금운용 수익률 제고를 위해선 △기대수익률을 높이면 위험 증가한다는 것 △기금운용 여건이 지금까지보다 향후 더 안 좋아질 것 △기금운용 수익이 크려면 기금 규모가 커야 한다는 점 등에 대해 확실하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수십년을 일하는 동안 보험료 성실하게 납부했다면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으로 웬만큼 노후소득이 보장되어야 한다”며 “국민이 노후를 불안해 하고 심지어 연금 지속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은 명백한 정부의 직무 유기”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