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무척 어려웠던 1960~70년대 유행했던 머릿니와 옴 등 기생충이 다시 번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사라진 것으로 여겼던 대표적 후진국병 결핵도 예전보다 더 독해진 채 되살아났습니다.
그 실태와 원인을 윤영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동생을 둔 대학생.
참빗을 사서 머리를 빗어보니 하얀색 벌레 수십 마리가 나왔습니다.
[인터뷰:조남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피부과 교수]
"머릿니가 있는 경우는 가장 흔한 증상이 가려움이기 때문에 긁어서 상처가 날 수도 있고 습진처럼 진물이 나는 경우도 있고, 심하면 탈모 증상도 있습니다."
충북 진천군 노인 요양시설에서 발견된 전염성 강한 피부병인 옴.
최근에는 고령층 사이에서 급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윤영덕,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위원]
"80대 이상 분들이 장기요양시설에 많이 거주하고 계셔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어려웠던 시절, 영양이 부족했던 사람들이 많이 걸렸던 결핵.
세계보건기구가 작성한 보고서를 보면, 지난 2011년 기준 우리나라 결핵 환자 수는 10만 명당 149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습니다.
공동 2위인 에스토니아, 폴란드, 포르투칼의 환자 수인 29명의 5배가 넘고, OECD 평균의 9배에 달합니다.
특히 치료제에 저항성을 지닌 내성균마저 등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950, 60, 70년대에 결핵이 폭발적으로 발병했는데, 그 당시에 감염된 세대들이 대부분 생존해 있기 때문에 그 중 일부가 발병하면서..."
되돌아온 후진국병.
집단시설에 대한 철저한 감독과 함께 국가 감염병 관리 시스템의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사이언스 윤영혜[scinews@ytn.co.kr]입니다.
[저작권자[저작권자(c) YTN & Digital YTN.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