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튀르키예 통한 시리아 '구호통로' 기한 11월까지 연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10일(현지시간) 튀르키예와 교차하는 시리아의 밥 알하와 국경 근처 창고에서 노동자들이 유엔에서 제공한 구호물품을 나르고 있다. 2023.07.10/ ⓒ AFP=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민수 기자 = 튀르키예를 거쳐 시리아로 유엔의 구호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이 11월13일(현지시간)까지 연장됐다.

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에리 카네코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대변인은 "시리아 정부가 밥 알 살람(Bab al-Salam)과 알라이(Al Ra'ee)국경 통과를 11월13일까지 연장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시리아는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에 대한 국제사회 제재를 받고 있어 각국 정부의 직접 원조를 받지 못한다.

지난 2월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5만명 이상이 사망한 후 시리아는 유엔이 튀르키예의 두 국경을 통해 구호품을 파견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 협정은 8월13일 만료될 예정이었다.

유엔은 또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라)의 승인을 받아 2014년부터 시리아 북서부 수백만 명에게 구호품을 전달하기 위해 튀르키예의 밥 알 하와 국경을 이용했다. 그러나 15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안보리가 이를 연장하는 데 합의하지 못하면서 7월 중순에 협정이 만료됐다.

얼마 지나지 않아 시리아 정부는 유엔이 밥 알 하와 국경을 6개월 더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아직 유엔은 구호품 전달을 재개하지 않고 있다.

시리아 내전은 지난 2011년 3월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의 독재 정권 퇴출을 요구하는 시위에서 시작됐지만, 이슬람 시아파-수니파 간 갈등, 미국-러시아의 대리전으로 번지며 십수 년째 이어지고 있다.

시리아에 대한 대부분의 원조는 정부 소유 영토인 수도 다마스쿠스를 통해 이뤄진다. 아사드 정권은 반군이 장악한 지역에 대해 어떤 구호품이 전달되는지 엄격히 통제해왔기 때문에, 북부 반군 장악 지역으로 향하는 지원은 튀르키예 국경을 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kxmxs410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