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러시아 거부권 행사로 시리아 구호품 조달 끊길 위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튀르키예 경유 구호 물품 지원 연장 기간 두고 서방과 대립

인권단체들 "정치보다 인도주의적 요구 따라야"

뉴스1

10일(현지시간) 튀르키예와 교차하는 시리아의 밥 알하와 국경 근처 창고에서 노동자들이 유엔에서 제공한 구호물품을 나르고 있다. 2023.07.10/ ⓒ AFP=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권진영 기자 = 유엔의 인도 지원에 의존해 생존하고 있는 시리아 주민 400만 명에 대한 구호품 조달이 러시아의 반대로 끊길 참이다.

11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러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튀르키예를 통한 시리아 지원안을 9개월 연장하는 데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러시아는 기존 12개월에서 타협안으로 제시된 9개월 연장안 대신 6개월 연장안을 주장했다. 하지만 미국·영국·프랑스 등의 거부권 행사로 결국 두 가지 안 모두 물거품이 됐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데 대해 "실망했다"며 모든 안보리 회원국에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배로 노력하라"고 촉구했다.

유엔은 안보리의 지시나 시리아 정부의 허가 없이는 합법적으로 국경을 넘을 수 없다며 구호 활동을 허가하는 기한이 지난 10일 만료됐다고 알렸다.

시리아로 통하는 구호물자의 약 85%는 튀르키예의 밥 알하와 교차점을 통해 전달되는데 지난 2월 개통된 두 교차점과는 규모 차이가 압도적이다.

시리아에는 약 400만 명의 주민들이 수년간 분쟁과 파괴적 지진으로 유엔의 지원에 의존해 살아가고 있다.

린다 토마스 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뉴욕타임스(NYT)에 두 결의안을 모두 채택하지 못한 데 유감을 표하며 러시아가 "운동장의 불량배처럼 자기 방식에 따르지 않을 거면 떠나라는 식으로 행동했다"고 말했다.

바실리 네벤지아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유엔의 지원이 "테러리스트"에게 갈 것이며 국경을 경유하는 방식은 "쇼"라고 주장했다.

그는 러시아가 주장한 6개월 연장안이 아니라면 국경 간 지원 방식을 폐쇄할 수도 있다고 으름장을 놨다.

NYT에 따르면 케어인터내셔널을 비롯한 6개 국제 구호기관은 이날 공동 성명을 통해 안보리의 결정을 비판했다.

단체들은 "오늘 (유엔) 안보리가 시리아 북서부지역에 대해 국경 간 지원을 재승인하지 못한 것은 그곳에 살고 있는 시리아인들이 이미 겪고 있는 불안과 불확실성을 가중시킬 뿐이다"며 "안보리 구성원들은 정치보다 인도주의적 요구에 따라야 한다"고 성토했다.

국제 구호기관과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러시아를 비난하고 안보리가 즉시 재집결해 타협안을 내라고 요구했다.

뉴스1

10일(현지시간) 밥 알하와 국경을 넘어 시리아 국경 안으로 유엔에서 파견한 구호물자 트럭이 진입하고 있다. 2023.07.10/ ⓒ AFP=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realkw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