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中 보복 개시, 8일부터 대만해협에서 군사훈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차이잉원 총통과 매카시 의장 회동에 대한 대응 조치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중국이 8일 사흘로 예정된 대만해협 주변에서의 군사훈련에 돌입했다.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과 케빈 매카시 미국 하원의장의 회동에 반발한 대응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아시아투데이

대만을 대상으로 한 보복 군사 훈련에 나선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의 항모 전단./제공=신화통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관영 신화(新華)통신의 8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대변인인 스이(施毅) 대교는 이날 "동부전구는 10일까지 사흘 동안 대만해협과 대만섬 북부, 남부, 대만섬 동쪽 해·공역에서 대만 섬을 둘러싸는 형태의 전투 경비순찰과 '날카로운 검 연합훈련'을 계획대로 조직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는 '대만 독립' 분열 세력과 외부 세력의 유착·도발에 대한 엄중한 경고이자 국가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수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행동"이라고 설명했다.

이보다 앞서 지난 7일 대만을 마주보고 있는 푸젠(福建)성 해사국은 10일(현지 시간)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핑탄(平潭)현 앞 대만해협에서 실탄 사격 훈련을 실시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훈련의 일환일 가능성이라고 봐야 한다. 핑탄은 대만 북부 신주(新竹)현에서 126㎞ 떨어진 곳으로 중국의 최전선이라고 할 수 있다. .

대만 국방부는 이에 대해 현지 시간 7일 오전 6시부터 8일 오전 6시 사이에 대만 주변에서 중국군 군용기 13대와 군함 3척을 식별했다고 밝혔다. 이 중 군용기 4대는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어 들어왔다고도 전했다. 하지만 "충돌을 고조시키거나 갈등을 부추기지 않겠다. 신중한 태도를 가지고 차분하고 이성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언급, 대응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의 이번 훈련은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케빈 매카시 미국 하원의장의 회동에 대한 보복 조치라고 해야 한다. 이들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LA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도서관에서 회동한 바 있다. 이처럼 대만 현직 총통이 미국 본토에서 미국 하원의장과 만난 것은 처음이다.

예상대로 중국 국방부와 외교부 등 5개 기관은 차이잉원-매카시 회동 직후인 지난 6일 "결연하고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7일에는 결국 레이건 대통령 도서관과 허드슨연구소 등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

중국은 지난해 8월 낸시 펠로시 당시 미국 하원의장이 대만을 방문했을 때도 대만을 포위하는 형태로 훈련 구역을 설정, 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고강도 무력시위를 벌인 바 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