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일본인 68% “한국 강제징용 해법, 해결되지 않을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일 관계 변하지 않는다”응답에 56% 답해

세계일보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6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정상 공동 기자회견을 마친 후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인 68%가 한일정상회담에서 한국 측이 내놓은 강제징용 해법으로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반면 21%는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27일 니혼게이자이 신문(닛케이)는 발표한 TV도쿄와의 공동 여론조사(24~26일)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같은 내용이 담겼다.

우선 일본인 63%는 한일 정상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했고 21%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앞으로 한일 관계가 “변하지 않는다”는 응답에 56%가 답했고 “좋아질 것”이라는 답엔 35%가 답했다.

신문은 한일 관계 개선에 대해 부정적 응답이 큰 배경에 대해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는 점”을 꼽았다.

닛케이는 “윤석열 대통령은 해결책을 착실히 이행한다고 명언했으나 한국 내에는 반발이 있다. 일본 측에게는 정권 교체 등으로 재연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기시다 후미오 일본 내각의 지지율은 48%로 지난달 조사 대비 5%p 올랐다.

앞서 지난 6일 우리 정부는 한국 주도로 하는 ‘제3자 변제 방식’을 골자로 하는 일제 강제징용 피해 배상 해법안을 발표했다.

우리 행정안전부 산하 재단이 돈을 걷어 일본 피고 기업대신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지급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결정에 윤석열 대통령은 "강제징용 문제 해결은 한국 정부가 국민을 위해 대국적 차원에서 내린 결단"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우리 기업 포스코는 지난 15일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40억원의 기부금을 납부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강제징용 생존 피해자들은 전면 반발하고 있다. 피해자 3명 전원은 정부가 추진하는 '제3자 변제'에 공식적으로 거부 의사를 밝혔다.

제3자 변제 거부를 공식화한 원고는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피해자인 양금덕·김성주 할머니와 일본제철 피해자인 이춘식 할아버지다.

이들의 대리인은 이미 지난 10일 제3자 변제 거부 의사를 담은 내용증명을 재단에 발송했으며, 이날 방문을 통해 인편으로도 거듭 문서를 전달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