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中, 남중국해 수중 고고학 센터 개관…"영유권 주장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 인근을 지나는 중국 해경선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중국이 남중국해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남부 하이난에 수중 고고학 센터를 건립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1일 보도했다.

전날 중국 국가문물국은 중국 소셜미디어 위챗 계정을 통해 지난 18일 하이난섬 충하이시에서 남중국해 수중 고고학 센터 개관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가문물국의 리췬 국장은 개관식에서 "광활한 남중국해는 해상 실크 로드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이에 해당 수역은 풍부한 수중 유물의 본거지이자 중국 문화유산에 중요한 곳"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중 고고학 센터의 건립은 중국 전통문화를 전수하고 국가 주권과 안보, 해양권과 이익을 수호하는 데 특별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중국은 오래전부터 남중국해 유물을 고대 해상 실크로드와 연결지으며 수중 유물 조사를 벌여왔다. 남중국해 일대의 섬과 암초, 항로 주변에서 해저 유물과 유적 발굴에 나서 영유권을 굳히겠다는 의도다.

중국 관영 매체에 따르면 중국은 1990년대 초부터 남중국해 수중 고고학 탐사를 진행했다.

이번에 2억5천만 위안(약 471억 원)을 들여 충하이시에 지은 수중 고고학 센터는 고고학 연구와 난파선 유물 복원 등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18년 착공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개관이 지연됐다.

앞서 2015년 당시 리샤오제 국가문물국장은 봉황TV와 인터뷰에서 "난파선과 섬에 세워진 건물이나 비문 등 고대 중국의 역사적 유물이 대거 발견된다면 그 모두는 역사적으로 중국이 해당 섬과 항로에 대한 주권을 가졌으며 해당 해역에서 정기적인 경제·무역 활동을 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렇기에 수중 고고학은 국가 이익을 수호하고 국가 주권을 보여주며 역사적 증거를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앞서 남중국해에서 발굴한 도자기, 동전과 다른 유물들을 전시한 해양 박물관들을 지으며 해양 고고학에 대거 투자해왔다.

남중국해는 막대한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는 데다 중국, 일본, 한국 등 동북아 지역의 유조선이 통과하는 전략적 요충지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약 90%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베트남, 필리핀, 대만, 말레이시아, 부르나이 등 주변국은 물론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마찰을 빚고 있다.

prett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