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정부 VS 의료계 첨예한 대립

'총파업 D-3' 보건의료노조, 복지부와 교섭 재개…"현장서 체감할 수 있는 안 나와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력·인프라 부족에 공감대 이뤄

구체적 시행시기 등에는 입장차

아시아경제

송금희 보건의료노조 사무처장이 30일 서울 영등포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열린 제12차 노정 실무협의에서 발언하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지희 기자] 다음달 2일 총파업을 예고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보건복지부와 막바지 협상에 나섰다. 이날 실무협의는 오후 3시부터 시간 제한 없이 진행될 예정이다.

보건의료노조와 복지부는 3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제12차 노정협의를 재개했다. 양측은 의료 현장의 인력 및 인프라 부족 문제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이뤘으나, 구체적인 개선 시기 등에 대해서는 의견 차를 보이고 있다.

이창준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해 코로나19가 발생하고 1년 7개월 이상 유행이 계속되는 가운데 의료 현장에 번아웃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는 게 가장 우선순위"라며 "감염병 대비에 필요한 인프라 마련이 중장기적으로 필요하다는 데 누구도 이견이 없다. 이 같은 의지를 갖고 노정협의에 충실하게 임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계속 파업이 있을 수 있다는 뉴스가 나오게 되면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도 불안하고 걱정스러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박향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도 "그간 의료현장에서 코로나19를 담당하는 현장 인력들이 얼마나 힘든지를 계속 확인하는 과정이었다"며 "그 과정에서 시급하게 풀어야 할 문제, 현장을 확인할수록 시간을 갖고 풀어야할 문제가 산적해있다고 느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복지부가 현장 인력의 번아웃을 느꼈다면 노조도 제도 하나를 바꾸는 데 얼마나 많은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국민들의 공감, 제도를 바꿨을 때의 실익 등을 느꼈다고 생각한다"며 "이 같은 협의가 서로가 각자의 위치에서 어려움을 공감하고, 해결하는 데 어떤 것을 우선순위로 할지 좁혀가는 과정이고 어느 정도 좁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 측은 보다 단기간에 현장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안을 내놓아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송금희 보건의료노조 사무처장은 "'대안을 마련하겠다, 노력하겠다'라는 말보다 구체적인 시행 시기 등을 제시해야 조합원들도 희망을 가질 수 있다"며 "파업을 사흘 앞두고 마지막 될지, 한 번 더 기회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오늘 최대한 합의점이 나왔으면 좋겠다.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안을 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선희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 역시 "사스, 메르스를 거치며 감염병전문병원이나 공공병원의 부족한 인력을 미리 채웠다면 현 시점에서 인력과 병상이 없어 고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복지부가 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고 했지만 현장에도 분명히 한계가 있음에도 그걸 뛰어넘어 버티고 있다"고 강조하며 구체적인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한편 노조는 지난 19일 정부가 공공의료 확충 및 의료인력 확대를 골자로 한 8가지 요구사항을 이행하지 않으면 내달 2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선언한 바 있다. 앞서 지난 26일에도 오후 4시부터 이튿날까지 11시간에 걸쳐 릴레이 협상에 나섰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김지희 기자 way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