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애틀랜타 총격 사건

애틀랜타 경찰 "총격 사건 동기서 증오범죄 배제 안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성중독 가능성 언급 비판 확산에 입장 변화

백악관도 피해자 애도 조기 걸어

바이든 대통령, 내일 애틀랜타서 아시아계 주민과 간담회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미국 경찰이 18일(현지시간) 한인 등 6명의 아시아계 여성을 포함해 8명의 희생자를 낸 애틀랜타 총격 사건을 저지른 로버트 에런 롱에 대해 증오 범죄 기소를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당초 성중독을 범행 동기로 거론한 데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진 것을 의식한 모양새다.

아시아경제

백악관에 애틀랜타 총격 사건 피해자를 애도하는 조기가 걸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애틀랜타 경찰은 이날 브리핑에서 하루 전과 달리 "끔찍한 범행의 동기를 파악하려고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당국자는 "어떤 것도 조사 테이블에서 치워지지 않았다"라며 모든 상황을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당국자는 또 "이미 슬픔에 빠진 가족들과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피해자의 가족에게도 애도를 표한다"라고 전했다.


애틀랜타 경찰은 전날 용의자 롱이 성중독에 빠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증오범죄로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경찰의 발표 직후 메릴린 스트리클런드, 앤디 김 등 연방 하원 의원들은 일제히 경찰이 이번 사건의 본질을 증오범죄가 아닌 성중독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비판에 나섰다.


미 하원 법사위 헌법·민권·시민적 자유 소위원회는 이날 청문회를 열어 아시아계에 대한 폭력 근절을 촉구했다. 이날 청문회에는 영 김·미셸 박 스틸 등 한국계 하원의원을 비롯해 아시아계 하원 의원들이 증인으로 참석했다.


경찰이 범인인 백인을 두둔한 것이라는 비판이 확산하며 상황이 악화한 가운데 조 바이든 대통령은 적극적으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대책을 모색 중이다.


백악관은 이날 바이든 대통령이 하루 뒤 예정했던 애틀랜타 방문 중 애초 계획했던 경기부양 대책 홍보 행사를 연기하고 대신 아시아계 주민들과 만나 이번 총격사건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이번 사건 희생자들을 애도하기 위해 백악관 등 공공 기관에 조기를 걸라고 지시했다.


재닛 옐런 재무부 장관은 "백악관에 걸린 조기를 보고 마음이 아프다.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증오범죄 증가로 고통 받고 있다. 우리는 이런 상황을 중단 시키고 바꿔야 한다"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