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美 ‘北 사이버위협’ 주의보 내려… “국제금융망에 위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무부ㆍ국토안보부ㆍ재무부ㆍFBI 공동 발령
한국일보

12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주재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이 회의에서 발언하는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국무부가 15일(현지시간) 국토안보부와 재무부, 연방수사국(FBI)과 함께 북한의 사이버위협에 대한 주의보를 발령했다. 미 정부기관이 합동으로 북한의 악성 사이버활동을 겨냥해 경계령을 내린 건 2018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미 국무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은 미국과 전 세계 국가를 위협하고 국제금융시스템의 안정성과 통합에 상당한 위협이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와 유엔의 강력한 제재 압박 하에서 북한은 사이버 범죄 등의 불법행위에 점점 더 의존,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한 자금을 창출해 왔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제재회피 활동에 대한 공개적 경고까지 담은 것이다.

국무부는 또 “북한이 미국의 핵심적 인프라시설에 영향을 미칠 사이버 공격 능력을 가지고 있고 금융기관에서 자금을 빼낼 능력도 갖추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북한의 사이버공격 수법과 사례를 상세하게 거론했다. 금융기관을 상대로 한 해킹과 돈세탁, 네트워크를 정지시켜 버리겠다는 위협을 통한 강탈, 암호화폐 탈취 등이 수법으로 언급됐고,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의 보고서가 근거로 제시됐다.

미 국토안보부 산하 사이버안보ㆍ기간시설안보국(CISA) 홈페이지에 게시된 그간의 경계령 내역을 보면 미 정부기관이 합동으로 북한의 사이버위협에 대해 공개적 경계조치에 나선 것은 19개월여만이다. 북한에 대한 경계령은 2017년 6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5차례 나왔는데 국토안보부와 재무부, FBI 차원에서 북한이 유포한 특정 악성코드 등을 겨냥해 나오다 이번에는 국무부까지 동참, 북한의 사이버위협 전반을 대상으로 했다. 미 재무부 제재처럼 특정 인물이나 기관을 집어 조치에 나서는 것은 아니지만 대북제재의 누수를 막기 위한 미 행정부 차원의 감시활동이 계속되고 있다는 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소연 기자 jollylif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