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사설] 기업 도미노 파산 막을 긴급수혈 확대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기업들이 휘청거리고 있다. 직격탄을 맞은 항공, 여행업종뿐 아니라 자동차, 해운, 정유 등 국내 주력 업종들도 미증유의 위기에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정부는 이미 두 차례에 걸쳐 20조원 규모의 업종·분야별 긴급지원 조치와 11조7000억원 규모의 추경도 편성했다. 하지만 산업 현장에서는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찔끔 지원 대책이라며 위기를 넘기에 태부족이라는 반응이다. 19일 나온 50조원의 '금융안정 패키지' 역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중기와 자영업이 우리 경제의 약한 고리지만 대기업·중견기업의 상황도 심상치 않다.

가장 피를 말리는 업종은 항공업이다. 항공 여객이 92% 줄면서 비행기 10대 중 9대가 서 있는 상황이다. 이스타항공은 비행기를 띄울수록 손해가 나자 24일부터 국제·국내선 운항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현대자동차도 2월 국내 판매량이 26% 줄었고 중국시장은 97% 감소했다. 완성차 업계의 충격은 2만여 부품 업체에 연쇄 타격을 준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수출 비중이 높은 석유화학, 철강 업종 역시 비상이 걸렸다. 내수가 얼어붙고 수출길이 막힌 '내우외환'이 지속될 경우 멀쩡한 대기업들도 줄도산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재계에서는 '4월 유동성 위기설'이 나오고 있다. 4월 만기가 도래하는 국내 회사채 규모는 6조5495억원에 달하는데 신용등급 하락으로 만기 연장, 신규 발행이 어려워질 경우 여러 기업이 유동성 위기에 몰릴 수 있어서다. 이미 5개 국적 항공사는 회사채 발행 때 정부가 지급보증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업어음(CP) 매입기구를 설치하기로 한 데 이어, 유럽중앙은행(ECB)도 7500억유로(약 1054조원)를 투입해 국채·회사채를 사들이기로 했다. 정부도 이번주 중 채권시장안정펀드 최소 10조원 등 27조원 안팎의 금융시장 안정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한다. 기업들의 도미노 파산을 막기 위해서는 과감하게 긴급수혈에 나서고 가장 절박한 곳에 실제로 돈이 가게 해야 한다. 일시적인 돈맥경화로 파산 위기에 몰린 기업을 살리는 일은 시간과의 싸움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