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입국 제한과 금지

위기의 아베, 韓·中 입국 제한 조치로 ‘웃음꽃’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송 설문조사에서 77%가 지지 / 1차 시한 3월 뒤에도 연장 이목 / 아사히신문 “코로나, 장기화 조짐 / 세계적 유행… 완전 봉쇄는 불가능”

세계일보

코로나19 대응 실패로 궁지에 몰린 아베 신조(安倍晋三·사진) 일본 총리가 한·중에 대한 입국제한 조치로 지지층을 재결집하는 데 성공한 분위기다.

NHK가 6∼8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240명(응답자 기준)을 설문조사해 9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4분의 3을 넘는 77%의 일본 국민이 한·중에 대한 입국제한 조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이다.(매우 평가 36%·어느 정도 평가 41%) 한·중에 대한 입국제한 조치가 일본 국민의 높은 지지를 받음에 따라 아베 총리 정권이 1차 시한인 이달 말 이후에도 이 조치를 연장할지 주목된다.

외교 소식통은 10일 “우리 정부 희망은 가능한 한 최대 빨리 종료되는 것을 희망하는 것으로 안다”며 “코로나19 사태의 전개 상황을 보면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각료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확산에 대비해 긴급사태를 선언할 수 있도록 관련법(신종인플루엔자등대책특별조치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 법안이 13일 국회에서 통과되면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지방자치단체) 지사는 외출 자제와 휴교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시점은 즉시 긴급사태 선언이 나올 상황은 아니다”며 “항상 최악의 사태도 상정하면서 국민 생활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긴급사태 선언 등 법적 구조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따라 입법 조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문제를 다루는 일본 정부의 전문가 회의는 9일 회의 후 브리핑에서 일본 내 코로나19 유행이 해를 넘겨 내년 이후까지 장기화할 수 있다는 견해를 표명했다고 아사히신문이 이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전문가 회의는 코로나19의 세계적인 유행을 완전히 봉쇄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일본 내 유행을 억제했더라도 해외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것 등에 의해 일본에서 다시 코로나19가 유행하게 되더라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오후 11시 현재 일본 전체 감염자는 1240명(크루즈선 696명), 사망자는 17명(크루즈선 7명)이다.

도쿄=김청중 특파원 c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