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우리 일상이 곧 도면… 뭐든지 레고로 ‘뚝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레고 애호가들을 위한 유튜브 채널 ‘레고도사꾸삐’를 운영하고 있는 꾸삐(왼쪽)와 레고 ‘미니피규어’ 가면을 쓴 브릭키가 레고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상하는 모든 걸 레고로 만들 수 있어요. 아, 물론 여자친구는 빼고요.”

지난 13일 서울 삼성동의 한 사무실. 유튜브 채널 ‘레고도사꾸삐’를 운영하는 ‘꾸삐’(본명 이준승·29)와 ‘브릭키’(22)는 레고의 매력을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하며 웃었다. 얼마 전 구독자가 15만명을 넘어서는 등 인기몰이 중인 이들의 채널에선 입문자부터 애호가까지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레고 관련 영상 콘텐츠를 제공한다. 최근 ‘브롤스타즈’라는 모바일 게임 관련 콘텐츠를 올리면서 구독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영상에 주로 얼굴을 비추는 인물은 꾸삐다. 그는 과거 3년간 프랜차이즈 카페를 운영했다. 2013년 성인이 되고서는 처음으로 레고에 입문했다. 레고의 매력에 푹 빠진 그는 동호회 활동으로 ‘덕력’을 키웠다. 2014년 레고 전시기획 사업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됐다. 레고 콘텐츠를 제작하는 목적을 묻자 그는 “레고는 단순한 장난감이 아닙니다.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매력을 품은 하나의 ‘오브제’”라면서 “장난감으로만 알고 있는 대중들의 인식을 바꿔 보고자 했다”고 답했다.

덕질에도 단계가 있단다. 초심자들이 도면대로 작품을 완성하는 수준이라면, 고수는 거기서 더 나아간다. 눈으로 본 일상을 직접 브릭으로 구현하는 창작의 영역으로 넘어간다. 브릭키는 “영화를 보거나 길을 걷다가 일상에서 접하는 모든 멋진 순간들을 레고로 만들면 재밌을 거란 상상을 한다”면서 “본 장면을 잘 기억해 뒀다가 여러 부품들로 구현하는 것이 레고가 가진 최고의 매력인 것 같다”고 치켜세웠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레테크’가 유행했다. 한정판 레고 제품을 사 둔 뒤 나중에 값이 오르면 되파는 것으로 일종의 재테크다. 2017년 전후로 다소 시들해졌다고 한다. 꾸삐와 브릭키는 레테크가 잠잠해지면서 오히려 레고의 대중화가 어느 정도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그들은 “사고 싶을 때 언제든지 살 수 있어야 (레고가) 대중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우선 자신의 ‘주 종목’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레고에는 다양한 시리즈가 있다. ‘닌자고’, ‘어벤저스’, ‘해리포터’, ‘테크닉’ 등 다양한 시리즈 중에서 자신이 모으고 싶은 장르를 정하는 거다. 계획적인 지출이 가능해진다. 앞으로도 레고의 매력을 알리는 영상을 계속 만들고 싶다는 그들은 자신들의 목표를 이렇게 압축했다.

“오늘도 한 사람의 레고 덕후가 생긴다면 성공!”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