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29·30·31번` 환자 공통점은 감염경로 불분명…지역사회 감염 우려 증폭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코로나19` 31번째 확진자 첫 진료받은 수성구 보건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코로나19 환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지역사회로의 감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동안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대부분 감염경로가 '해외여행' '확진자 접촉' 등 2가지였다. 그러나 최근 확진을 받은 환자 3명은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아 '지역사회 감염'이 의심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사회 감염은 확진자의 감염원을 찾지 못한다는 의미다.

1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감염원이 파악되지 않은 확진자는 29번·30번 부부환자와 이날 추가로 발생한 31번 환지다.

이들은 해외 여행력도 없고 다른 확진자와 접촉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매일경제

29번 환자 거주지 주변 방역 작업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환자들이 확진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지역사회에 무방비로 노출된 것도 감염 확산 우려를 키우는 요인이다.

29·30번 환자는 확진되기 10여일 전부터 마른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났지만 코로나19를 의심할만한 정황이 없어 동네병원을 수차례 방문하는 등 지역사회 노출이 있었다.

특히 29번 환자는 이 기간 동안 약 114명과 접촉한 것으로 방역당국은 분석하고 있다.

이날 확진을 받은 31번 환자 역시 대구 시내를 비롯해 서울까지 방문한 경로가 있어 수십명에서 백명 이상의 접촉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방역당국은 역학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29·30·31번 환자를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한 사례라고 아직까지는 단정할 순 없다는 입장이다. 전날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 본부장은 29·30번 환자의 감염경로와 관련 브리핑에서 "전혀 감염원을 추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몇 가지 가능성을 놓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