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스미싱 주의하세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금융위원회, 경찰청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국민 불안감을 악용한 보이스피싱,스미싱 시도가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17일 밝혔다.

'마스크 무료배포', '코로나로 인한 택배배송 지연' 등 코로나19 정보를 가장한 스미싱 문자 시도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지난 15일 기준 코로나19 관련 스미싱 문자 누적 건수는 9688건이다.

또 최근 문자를 이용한 스미싱 이외에도 전화로 보건당국,확진자 등을 사칭해 일반 국민이나 자영업체 등에 금전을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사기 및 유사 범죄시도 사례도 늘고 있다. 이밖에 코로나19 관련 보건,의료기관 등을 사칭하기 위한 전화번호 조작시도도 증가하는 경향이다. 15일까지 코로나19 관련 발신번호 조작 건수는 165건이다.

이에 정부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으로 인한 국민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통신3사와 협력해 모든 국민에게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스미싱 경고 문자를 발송하고, 향후 사태 안정까지 필요 시 즉시 경고 발령을 실시할 방침이다.

또한 관계기관과 협력해 보이스피싱 전화 등 신고 접수 시 사용된 전화번호를 즉시 이용 중지하고 스미싱 문자 등에 이용된 인터넷주소(URL)를 즉시 차단한다. 아울러 보건,의료기관의 전화번호로는 원천적으로 발신번호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보건당국 등과 협력해 변작 차단 목록에 관계기관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지속적으로 현행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전기통신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치와 병행해 개인의 주의가 요구된다'며 '본인의 개인정보 탈취가 의심되거나 휴대폰을 도난,분식했을 경우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가입제한서비스, 번호도용 문자차단 서비스, 킬스위치의 3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정부는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 스미싱 피해 예방,확산 방지를 위해 신속,철저한 대응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관계부처,기관과 협력해 추후 국민 불안을 악용하는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관련 종합대책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