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여기는 중국] 온라인 통해 남녀 미팅 주선 후 고가 의류 판 사기단 적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강매한 의류와 혼성 사기단의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녀 간의 만남을 빙자한 뒤 싸구려 옷을 고가에 매입하도록 강요한 사기 일당이 적발됐다. 이들 일당은 온라인 채팅 사이트를 통해 싱글 남성에게 접근, 사건을 공모한 여성 사기 일당과의 만남을 주선한 뒤 의류 등을 고가에 매매한 혐의다.

중국 후베이성(湖北) 우한시(武汉) 공안국은 최근 4개월 동안 진행한 수사 끝에 만남을 가장한 채 접근한 남녀 혼성 사기단 45명을 붙잡았다고 22일 공개했다. 공안국이 공개한 수사 내용에 따르면, 이들 일당은 지난 2018년부터 온라인 채팅 사이트를 통해 만난 남성에게 약 500만 위안(약 8억 7000만원) 어치의 의류를 강매한 혐의다.

특히 이들 남녀 혼성 사기단의 주요 ‘타깃’은 ‘결혼’을 미끼로 한 성인 싱글 남성이었다. 인터넷 채팅 사이트에 ‘구혼’ 메시지를 남기는 방식으로 연락을 주고받은 상대 남성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것. 사기 행각을 공모한 일당 중에는 20대 여성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이들은 피해 남성과 오프라인 상에서 실제로 만남을 가진 뒤 옷을 강매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이 피해 남성에게 판매한 의류 제품은 실제로는 저가 상품이지만 최대 수 천 위안대에 강매를 이어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더욱이 사기 일당들의 행각 중에는 온라인 채팅 담당자와 오프라인 상에서 피해 남성을 만난 뒤 옷을 강매하는 여성 사기 일당과 옷 판매 상점 및 상점 내 직원 등 각각의 업무를 분업화 해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이들 사기 일당에 의해 수 천 위안 상당의 의류를 구매한 것으로 알려진 피해 남성 황 씨는 총 두 명의 여성에게 고가의 의류를 강매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자 황 씨는 현지 유력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인터넷 채팅 사이트에서 ‘구혼’이라는 제목의 글을 보고 총 두 명의 여성과 연락이 닿았다”면서 “이후 두 여성은 모두 후베이성 우한에 살고 있다면서 각각의 여성은 서로 다른 장소에서 나와 만날 것을 요청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우한에 가서 만난 이들 여성들은 식사 후 곧장 옷을 사달라고 요구했고, 여러 옷 가게를 둘러본 후 588위안, 888위안 두 개의 옷을 요구했다”면서 “이후에도 추가로 옷 한 벌과 가방 한 개를 더 강매했는데, 당일 이 여성을 위해 지출한 금액만 약 1만 위안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황 씨는 이후 해당 여성의 이 같은 행동을 수상히 여겨 인근 관할 공안국에 신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황 씨로부터 사건 신고를 받은 우한시 공안국은 이번 사건이 결혼을 가장한 사기일 것으로 보고 4개월 동안 추가 수사를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공안국 관계자는 “이들 사기 일당은 직접 의류 상점을 운영하는 등 사기 행각에 대한 치밀함이 엿보였다”면서 “의류 상점의 규모는 7~8평 규모로 매우 작았지만, 상점 내부에 진열된 의류 가격표에는 적게는 수 백 위안부터 많게는 수 천 위안까지 다양한 제품이 진열돼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 일당들은 피해자가 고가의 의류를 강매 당할수록 더 많은 돈을 챙기는 방식으로 사기를 지속했다”면서 “특히 피해자의 총 피해 금액 중 40%를 온라인 채팅 사이트에서 피해 남성을 물색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사기 일당이 가져갔다. 또 피해 금액의 20%는 오프라인 상에서 옷을 강매한 여성 사기범에게 배분됐으며, 나머지 40%의 피해 금액은 의류 상점 운영을 비용에 할애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안국 수사 결과 이들 45명의 사기 일당은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총 1500건의 사기 행각을 통해 약 500만 위안을 불법적으로 갈취해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우한시 공안국은 사기 일당 중 33명을 형사 구류 처분, 여죄 여부를 추가 수사 중이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