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서울시 ‘돌봄SOS센터’ 실적 1만건 돌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9년 7월 출범… 시행 5개월 만에 목표 1.3배 초과 달성 / 박원순 시장 민선 7기 핵심 공약 / 노인·장애인 병원 동행 등 서비스 / 이용자 중 평균 90%이상 만족도 / 거동 불편 시민 도시락 배달 인기 / 2021년 25개 모든 자치구 확대 계획

세계일보

서울시 ‘돌봄SOS센터’의 한 직원(오른쪽)이 거동이 불편한 시민이 병원에 가는 것을 돕고 있다. 서울시 제공


과거 노숙자였던 A(52)씨는 가까스로 노숙생활을 청산했지만 정착 생활은 녹록지 않았다. 가족 없이 혼자 살고 있는 그는 지적장애를 갖고 있어 식사 준비 같은 일상적인 가사도 스스로 할 수 없는 상태였다. 그의 집은 쓰레기와 곰팡이로 가득 찼다. A씨의 상황을 알게 된 서울시 ‘돌봄SOS센터’는 A씨를 돕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청소업체를 통해 A씨의 집을 대청소하고 소독하는 한편 식사지원 업체를 통해 도시락을 챙겨줬다. 이들의 도움 덕에 A씨는 가까스로 위기 상황을 넘길 수 있었다.

지난해 7월 ‘보편적 돌봄 복지 실현’을 목표로 출범한 서울시의 돌봄SOS센터가 시행 5개월 만에 돌봄서비스 제공 1만건을 돌파했다. 서울시는 서비스 제공 자치구를 5곳에서 올해 13곳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18일∼12월31일 돌봄SOS센터 서비스 제공 건수가 1만102건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당초 시가 세운 목표 실적을 1.3배 초과 달성한 수치다.

‘돌봄SOS센터’는 돌봄이 필요한 시민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울시의 보편적 돌봄 복지 거점이다. ‘돌봄을 책임지는 서울’을 만들겠다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민선7기 핵심공약이기도 하다.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로 긴급하게 가사·간병이 필요한 경우는 물론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병원 동행, 형광등 교체 같은 일상적 도움까지 제공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 성동·노원·은평·마포·강서구를 시범 운영구로 선정하고, 주민 복지 동주민센터에 돌봄SOS센터를 설치했다. 각 센터에는 사회복지직과 간호직 공무원으로 구성된 전담인력이 배치됐다. 이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서비스를 신청하면 해당 가정을 방문해 어떤 서비스가 필요한지 파악하고 ‘돌봄계획’을 수립한다. 이후 전문기관을 통해 △일시재가 △단기시설 입소 △이동지원 △주거편의 △식사지원 △건강지원 △안부확인 △정보상담 등을 제공한다.

지난해 서비스 이용자 중 10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90%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요양보호사 등이 집으로 찾아오는 방문요양과 거동이 불편한 시민을 위한 도시락 배달 서비스의 인기가 높았다.

서울시는 올해 7월 8개 자치구(광진·중랑·도봉·서대문·양천·영등포·송파·강동구)에 ‘돌봄SOS센터’를 추가한다. 내년에는 25개 모든 자치구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서비스 대상도 전면 확대한다. 지난해에는 노인과 장애인이 주 지원대상이었지만 올해부터는 그동안 공공 복지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됐던 ‘만 50세 이상 중장년 가구’도 지원 대상에 포함한다. 기존에는 법적 저소득층(수급자, 차상위)에 한해 서비스 비용을 지원하고, 그외에는 시민 자부담이었으나 올해부터 서비스 비용 지원 대상을 ‘중위소득 85% 이하’ 시민까지 확대했다.

박 시장은 “돌봄은 개인이 짊어지고 가야 할 부담이 아닌 사회가 함께 안고 가야 할 사회적 문제”라며 “돌봄이 필요한 누구나 제약없이 돌봄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