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美-이란, 전면충돌 일단 '멈춤'…"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란은 치명적인 보복 피하고

미국은 군사공격 대신 경제 제재 카드만 꺼내

민병대 돌출행동 등 위험 여전히 남아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미국과 이란이 전면적인 군사충돌 직전에서 '브레이크'를 밟았다. 이란은 대대적이지만 치명적이지 않은 보복 카드를 꺼내 들었고, 미국은 당초 공언했던 이란 본토에 대한 보복 공격 대신 경제제재 카드만 빼들었다. 일단 전면충돌은 피했다. 하지만 갈등으로 치달을 변수는 여전히 크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이란의 출구전략 징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성명 이전 이란의 보복공격부터 감지됐다. 이란은 작전명 '순교자 솔레미마니'를 통해 이란이 이라크 주둔 미군을 상대로 보복 공격을 벌였지만, 치명타를 안겨주지 않았다. 수십여 발의 미사일을 쐈지만 아직까지 확인된 인명피해는 없다. 이란 정부가 자신들의 영웅 가셈 솔레이마니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이 미군에 의해 피살된 것에 대한 보복은 하되, 추가 확전을 피하려 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톰 카라코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선임연구원은 "전반적으로 볼 때 이란의 대응은 상대적으로 온건한 편"이라면서 "만약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면 전개 상황은 전혀 달랐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적 보복 대신 경제적 카드를 꺼내 든 것 역시 확전에 나서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자국 여론 등을 고려해 보복 공격에 나서지만 미국과의 확전은 피하려 한 이란의 의지를 미국 역시 확인했다는 것이다.


미국의 정치전문지 더 힐에 따르면 공화당 소속의 제임스 인호프 미 상원 군사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그 시간(이란의 보복공격 당시)에 미국인 누구도 죽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 좋은 느낌을 갖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이란과의 협상의 문이 열렸다고 보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이란의 비효과적인 보복공격이 일종의 미국과의 대화 의지를 담은 '메시지'로 해석했다는 것이다.


다만 양측이 충돌 직전에서 브레이크를 밟았다는 것이 사태의 안정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이란의 미사일 공격이 있은 지 채 하루도 지나지 않아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관이 있는 바그다드 그린존에 2발의 로켓이 발사됐다. 누가, 어디에서 공격을 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이란의 후원을 받았던 시아파 민병대의 공격 가능성이 우선 점쳐진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 군사관계자는 CNN방송에 "이란의 지원을 받았던 민병대의 경우 그동안 솔레이마니와 개인적으로 협력 관계를 유지해왔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앞으로 이 민병대가 제대로 통제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솔레이마니의 지원을 받았던 민병대가 이란 정부의 뜻과 상관없이 제멋대로 보복공격에 나설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것이다.


이란의 소행으로 의심받는 글로벌 해킹 등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점도 생각해볼 변수다. 솔레이마니 사망 후 해킹 움직임이 3배로 늘어나고 있는데 이란 해커 등이 우회 채널 등을 이용해 보복 공격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한 경제제재를 언급한 만큼 그 수위도 관심이다. 솔레이마니 사망 전 이란에서는 폭동이 발생했을 정도로 경제 상황이 악화됐다. 미국은 앞서 이란핵협정(JCPOAㆍ포괄적공동행동계획)에 탈퇴한 뒤 이란의 원유는 물론 운송, 군사 부분에 대해 광범위한 제재를 발표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해 이란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9.5%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업률도 16.8%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등 이란 국민의 겪는 고통은 상당한 상황이다. 미국이 추가 제재를 약속한 만큼 이란의 경제적 고통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AP통신은 "미 상무부와 국무부, 재무부의 경우 제재 내용을 미리 공개하지 않는다"면서도 "경제 제재 대상자나 기업, 조직 등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미국이 꺼내들 경제 제재 카드는 여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 속한 리처드 골드버그 민주주의수호재단(FDD) 연구원은 "미국이 이란을 상대로 최대한의 제재를 벌이고 생각하고 있다면 잘못된 판단"이라면서 "지금 제재 강도는 10점 만점에 8.5점 수준으로, 제재 수위를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수단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다"고 언급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