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아파트를 시크릿 가든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국내 건설사들의 브랜드 경쟁이 조경 분야로 확산하고 있다. 해외 유명 조경 디자인 회사와 손잡거나, 조경 설계 자체를 브랜드화해 내놓는 추세다. 입주자 개인이 변화를 주기 어려운 커뮤니티나 조경 등 외부 공간이 아파트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부각되는 가운데, 미세 먼지 등 영향으로 자연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선비즈

GS건설이 경기도 하남에 지은 '미사강변 센트럴 자이'단지 내 모습. 정원과 산책로 등을 곳곳에 조성했다. /GS건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S건설은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 4단지를 재건축해 이달 중 분양 예정인 '개포 프레지던스 자이'에서 세계적 조경 디자인 회사 SWA와 협업한 조경을 선보일 예정이다. SWA는 미국 디즈니월드 등 유명 건축물의 조경을 설계한 곳이다. GS건설은 2017년 입주를 시작한 '미사강변 센트럴자이' 설계 때도 니얼 커크우드 하버드대 디자인대학원 조경학과 교수와 협업한 적이 있다. 완충 녹지와 생태 연못 등을 조성한 이 단지는 최근 세계조경가협회(IFLA)에서 주거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대우건설은 지난 3월 푸르지오 브랜드를 리뉴얼하며 커뮤니티 시설과 조경을 연계하는 방식으로 조경 설계를 바꿨다. 단지 안에 숲과 뜰을 조성하고 카페나 숲속 영화관 등 커뮤니티 시설을 넣는 방식이다. 삼성물산은 필로티 공간을 활용해 동별 개인 정원을 조성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아웃도어 조경 설계 개념을 아파트 단지에 적용했다. 단지 내 중앙광장에 다양한 크기의 둔덕과 터널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어 휴식과 놀이, 운동을 할 수 있게 했다.

공공 아파트도 기존의 부정적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조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최근 자체 조경 브랜드 '시그니처 가든'을 개발하고 있다. '휴먼시아' 등 기존 LH 아파트 브랜드가 좋은 평가를 얻지 못하자 조경을 내세워 이미지 변신에 나서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조경을 잘한 아파트가 고급 아파트'란 인식이 강해지면서 재건축과 재개발 정비 사업 수주에도 조경 설계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했다.

성유진 기자(betrue@chosun.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