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화천,강원 최초 소각대행서비스 도입,인화물질 사전제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강원 화천, 도내 최초 ‘소각대행 서비스’ 도입…내년 3월 5일까지 경작지 ‘인화물질 사전 제거반’ 운영

· 영농 부산물과 논·밭두렁 등 소각에 의한 산불 예방, 빅데이터 활용해 위험지역 선정해 인화물질 미리 소각

· 고령 농업인과 영농 후계자 등 방문, 산불방지 홍보·교육 지속 진행…주 1회 이상 강원도와 주·야간 암행단속도 펼쳐

스포츠서울

지난 2017년 3월 화천군 하남면 논미리에서 발생한 산불. 낙엽과 영농폐기물 소각행위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산불진화대가 필사적으로 불을 끄고 있다. (제공=화천군)




[화천=스포츠서울 전인수 기자]

강원 화천군이 도내에서는 처음으로 ‘찾아가는 소각대행 서비스’를 도입해 산불예방에 어느정도 효과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화천군은 지난 1일부터 내년 3월 5월까지를 ‘산림인접 경작지 인화물질 사전제거 기간’으로 설정하고, 5개반 50명으로 ‘인화물질 제거반’을 편성해 운영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제거반은 산불 통계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난 2001년부터 올해까지 산불이 발생한 지역 41곳, 취약 산림 80곳의 인접 경작지에서 인화물질 소각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화천군은 영농 부산물과 논·밭두렁 소각에 의한 산불예방을 위해 마을 공동소각 등을 지원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귀농·귀촌 가구가 늘어나고 있는데다, 농촌 고령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신고에 의한 공동소각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스포츠서울

낙엽과 영농폐기물 소각행위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지난 2017년 3월 화천군 하남면 논미리에서 발생한 산불. 헬기가 동원돼 물을 쏟아부으며 진화작업를 벌이고 있다.



실제 화천지역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산불 25건(피해면적 72.8㏊)의 원인 중 영농 부산물과 쓰레기 소각 비중은 무려 22%로 등산객 실화(49%) 다음으로 컸다.

인화물질 사전제거반 운영은 농가의 불 놓기 신고가 없어도 화천군이 파악하고 있는 산불 위험지역의 위험물질을 미리 제거한다는 점에서 한 단계 진일보한, 적극적 산불 예방책이다.

화천군은 내년 3월까지 지역에서 발생하는 영농 부산물의 80% 이상을 미리 소각해 산불 발생의 소지를 없앤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고령 농업인과 영농 후계자 등을 방문해 산불방지 홍보 및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면서 주 1회 이상 강원도와 주·야간 암행단속도 펼치고 있다.

최문순 화천군수는 “직접 소각하는 농가들은 반드시 해당 읍·면 사무소에 불 놓기 허가를 사전 신청해 인력과 장비를 지원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인수기자 visionis7@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