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휠체어 이동 편한 전철역 스마트폰으로 확인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시철도 역사 내 데이타 일반 공개

1010개 역사 중 981개 역사

데이타 기반으로 교통약자 위한 지도앱 개발 가능

이데일리

공공데이터 포털 이용한 철도이용객 정보 공유시스템 흐름도(그래픽=국토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휠체어와 유모차 등을 이용해 전철을 이용하는 교통약자들의 편의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행정안전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함께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도시철도 역사의 교통약자 이동 및 환승 경로 그리고 편의·안전시설 정보가 담긴 역사(驛舍)데이터를 공개한다고 22일 밝혔다.

공개하는 역사정보는 전국 도시철도 1010개 역사 중 981개 역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철도역사의 기본적인 도면과 함께 편의시설 위치, 교통약자 이동편의 시설(엘리베이터·휠체어 리프트 등)을 활용한 이동경로 정보 등을 제공한다. 또한 발빠짐 사고예방 등을 위해 승강장의 탑승위치 별 승강장-차량 간격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를 개방하는 방식은 민간이 앱·서비스 개발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Open API 방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향후 철도시설공단의 철도산업정보센터에서 정보관리를 담당해 안정적인 정보 공개 및 정보 관리, 잔여 역사 정보 추가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는 카카오와 협업해 도시철도 역사 정보를 카카오 맵과 연동하는 서비스를 시범 개발 중에 있다. 교통약자들이 스마트폰 지도를 보고 전철역 내 편리한 이동경로를 찾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그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은 이동편의시설 설치를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경로안내 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개발은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며 “이번 정보공개가 서비스 개발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