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다이슨 어워드 2019 수상자 발표…국내 카이스트·한양대 수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19 국제전 수상작 마리나텍스. /다이슨


다이슨이 18일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19' 국제전 수상작과 입상작을 발표했다.

영국 서식스대학교 루시휴즈 학생이 만든 바이오 플라스틱 '마리나텍스'가 선정됐다. 생선 폐기물을 재활용해 일회용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내용이다. 일반 비닐봉지와 비슷하지만 튼튼하고 유연하며, 4주에서 6주면 자연분해돼 1회용 포장지로 적합하다.독소도 나오지 않는다.

영국 임페리얼 컬리지 런던 학생들이 만든 천식 감지기 '아플로'와 호주 RMIT 대학교 학생들이 만든 '게코 트랙스'도 선정됐다. 아플로는 인공지능(AI)으로 천식을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이며, 게코 트랙스는 휠체어로 비포장 도로를 달릴 수 있게 해준다.

메트로신문사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19 국제전 입상작 게코 트랙스. /다이슨


다이슨 재단은 2004년부터 학생들이 직접 일상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를 공모해 시상해왔다. 입상자에는 5000파운드가 수여된다.

국내에서도 2016년부터 개최됐으며, 올해에는 카이스트 학생팀이 출품한 '리유즈잇'이 수상했다. 이면지로 포스트잇을 만드는 기술이다.

한양대 학생들이 만든 '이동형 정맥 수액팩 적용, 유속감지 IoT 디바이스'도 입상했다. 링거를 환자 친화적으로 디자인한 제품이다.

다이슨의 창업자이자 발명가 제임스 다이슨은 "젊은 엔지니어는 세상에서 가장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열정, 인식 그리고 지성을 갖고 있다. 올해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출품작으로 시사하는 바가 큰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으며, 가장 높은 여학생 지원율을 보였다"며, "올해의 수상작 '마리나텍스'는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두 가지 문제인 일회용 플라스틱과 생선 폐기물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을 통해 '마리나텍스'가 보다 발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며, 전 세계적으로 쉽게 버려지는 일회용 플라스틱 문제에 해결책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재웅 기자 juk@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