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목)

[기자수첩]대학 연구도 '부익부빈익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온갖 네트워크를 동원해 미국 등에서 해외 인재 영입을 시도했지만 실패했습니다. 연봉도 맞추기 어렵고 중하위권인 우리 대학 교수로는 오지 않겠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습니다.”

사석에서 만난 한 대학 총장은 연구 경쟁력을 높이고 싶어도 방법이 없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여러 경로로 인공지능(AI) 교수진을 강화하려 했지만 수포로 돌아간 뒤였다. 그가 몸담고 있는 학교는 이른바 '스카이'(서울대·고려대·연세대)로 불리는 명문대가 아닌 중하위권 대학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다수 대학이 도약을 준비하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해외의 우수 교수진 모시기에 성공한 국내 중하위권 대학은 거의 없다. 연봉과 대학 명성의 한계로 사실상 인재 영입이 불가능하다.

AI대학원 등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이 있지만 중하위권 대학에는 문턱이 높다. 교수진 역량이 주요 평가지표 가운데 하나여서 결국 우수 인재를 확보한 상위권 대학이 선정되는 때가 많다.

정부지원 사업에 선정돼도 문제가 해결되진 않는다. 정부 지원자금으로는 해외 전문가 영입 비용을 맞추기도 빠듯하다.

상위권 대학 상황은 그나마 낫다. 정부 사업에 선정된 곳도 여럿이고 기업 기부금도 대체로 많은 등 연구에 필요한 '총알'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강국 실현으로 한국 경제와 사회 혁신의 새로운 도약을 끌어낸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재 양성이 기본이다. 그 중심에는 대학이 있다.

그러나 소수 상위권 대학의 연구 역량 강화만으로는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 강국이 될 수 없다.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을 다른 산업과 융합할 인재를 양성하고 산·학 협력으로 연계해서 새로운 시장을 만드는 것은 상위권 대학만으로 부족하다. 정부 지원이 대학에 고르게 퍼져야 하는 이유다.

패션, 뷰티 등 특성화 대학의 차별화 영역을 신기술과 결합해 시너지를 내도록 지원하는 것도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 가능성은 기술 자체가 아니라 여러 산업과의 융합에 있다. 4차 산업혁명 강국을 이룩하기 위한 정부의 혜안을 기대해 본다.

전자신문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