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대중소기업 거래 시 신용평가서 요구관행 실태조사 결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국제뉴스)박종진기자=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신용평가등급확인서(이하 신용평가서) 발급 경험이 있는 전국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중소기업 거래 시 신용평가서 요구관행 실태조사'결과, 대기업과 거래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 10곳 중 4곳(41.9%)은 대기업으로부터 특정 신용평가사 이용 요구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특정 신용평가사 이용 요구를 받은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53.6%)은 해당 요구가 '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당하다고 인식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이미 발급받은 신용평가서를 인정해 주지 않아 추가 비용 발생(92.2%)을 압도적인 비중으로 꼽았다.

이어, 타 신용평가사 대비 비싼 발급 수수료(16.5%), 타 신용평가사 대비 과도한 자료제출 요구(15.5%) 순으로 응답하였다.

중소기업들의 연 평균 신용평가서 발급 횟수는 1.9건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기업과 거래중인 중소기업은 2.0건으로, 대기업과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의 1.2건보다 평균 0.8건 높게 나타났다.

연간 2회 이상 신용평가서 발급시 이유에 대해서도 대기업 거래 중소기업들은 '거래 상대방이 특정 신용평가서의 신용평가서를 요구해서'(61.8%)를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대기업과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은 '신용평가서 발급 용도가 달라서'(62.5%)를 가장 높은 비중으로 응답하여 차이를 보였다.

중소기업들은 연간 신용평가서 발급 비용으로 56.9만원을 지출하고 있었으며, 신용평가서 발급으로 인한 비용시간행정 등이 '부담된다.'(매우 그렇다+다소 그렇다)는 응답이 과반(54.0%)을 넘었다.

대기업 거래 중소기업의 '부담된다'는 응답이 55.9%로, 대기업과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의 응답 33.3%보다 높았다.

김희중 중기중앙회 상생협력부장은 "일부 대기업이 계약 이행능력 확인 등을 빌미로 특정 신용평가사 이용을 강요하는 등의 관행을 보여 거래 중소기업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존 발급 신용평가서를 인정해주고, 거래 중소기업이 신용평가사를 선택하도록 하는 등 대기업이 자발적으로 거래관행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