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폼페이오 "안보 위한 책임분담 해야"…방위비 인상 압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사진 출처=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24일(현지시간) 각 나라가 안보를 위한 책임(burden)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캔자스 지역 신문인 '위치타 이글'과의 인터뷰에서 시리아 철군 문제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쿠르드족을 다룬 견지에서 볼 때 미국의 말이 무슨 소용이 있는가. 미국의 신뢰도를 약화하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우리가 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에 대해 분명히 해왔다. 나는 다른 나라들 역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사람들이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다른 나라들도 단순히 세계의 안보를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 나라의 안보를 위해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 이에 대해 매우 분명히 해왔다"며 "우리는 단지 유럽 파트너들뿐 아니라, 아프리카 나라들, 중동의 나라들, 그리고 호르무즈 해협의 개방에 의존하고 있는 아시아 나라들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들은 또한 그들 자신을 위해 그렇게 해야 한다(책임을 분담해야 한다)"며 "그들이 그렇게 할 때 미국은 계속 엄청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책임 분담'을 거론하면서 특정 국가를 언급하진 않았으나 한국의 경우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과 호르무즈 해협 문제가 걸려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이란을 겨냥해 이란 인근 호르무즈 해협을 통제하는 군사작전, 즉 호르무즈 호위 연합에 일본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동참을 요청했으며, 현재 영국,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

미국은 한국에도 동참을 요청한 상태다. 일본의 경우 '호르무즈 호위연합'에 참여하지는 않고 자위대를 보내는 계획이라고 교도통신이 보도한 바 있다.

한국은 이날 미국 호놀룰루에서 미국과 내년 이후 적용할 제11차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2차 회의 이틀째 일정에 들어갔다.

미국은 직간접적인 주한미군 운용비용이 연간 50억 달러(약 6조원)에 육박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한국에 분담금의 대폭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