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국내 연구진, 장내 염증반응 억제 새로운 기전 규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염증성 장질환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아시아경제

장 내에서의 '알오알 알파' 생리적 기전 규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백성희 서울대 교수, 황성순 연세대 교수, 박대찬 아주대 교수 연구팀이 염증성 장질환 생쥐 모델에서 핵수용체에 의해 장내 염증을 제어하는 새로운 기전을 밝혀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등 염증성 장질환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염증성 장질환은 대장 등에 생긴 비정상적인 만성 염증이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질환으로 심한 경우에는 장이 막히거나 천공이 생길 수 있다. 원인은 유전적, 면역학적 이상 등으로 추정될 뿐 정확한 원인과 완치 방법이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장 특이적 '알오알 알파' 결핍 생쥐모델을 제작해 장내 염증반응과 알오알 알파의 생리적 기전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했다. 알오알 알파는 암 발생 및 지방간을 억제하는 역할로 많이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장내 염증을 유도하기 위해 정상 생쥐와 장 특이적 알오알 알파 유전자 결핍 생쥐에 '덱스트'란 화합물을 먹여본 결과, 결핍 생쥐가 정상 생쥐에 비해 장내 염증이 더 심하게 유도되는 결과를 확인했다. 더욱이 장내 염증반응을 지속적으로 유도했을 때 장 특이적 알오알 알파 유전자 결핍 생쥐의 생존율이 정상 생쥐에 비해 심하게 감소했다. 또한 연구팀은 장에서 알오알 알파가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생쥐의 장내 상피조직을 적출해 R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알오알 알파가 염증반응 촉진 유전자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알오알 알파가 염증반응 촉진 유전자의 활성화를 억제해 장에서의 염증반응을 막고 상처 부위의 회복을 촉진하는 것을 밝혀, 염증성 장질환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