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양돈업계 "멧돼지 관리 환경부서 농식품부로 이관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정혁수 기자] [대한한돈협회,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정부대책 한계…"지역단위 집돼지 살처분 대책도 반대"]

머니투데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일민미술관 앞 광장에서 열린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의 한돈농가 응원 위한 한돈 할인 판매 및 시식회 행사에서 하태식 한돈자조금 위원장(왼쪽)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시식용 고기를 나눠주고 있다. / 사진=이동훈 기자 photoguy@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책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환경부가 담당하고 있는 멧돼지 관리업무를 수의방역 업무부서인 농림축산식품부로 이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멧돼지가 ASF 전파매체인 상황에서 집돼지에 대한 방역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상황을 고려한 대목이다.

대한한돈협회는 13일 성명을 내고 "환경부는 고유 업무인 생물다양성과 보호를 빌미로 야생멧돼지 관리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며 "멧돼지가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 매개체인 만큼 방역관리 차원에서 수의방역 업무부서인 농림축산식품부로 이 업무를 이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돈협회는 "연천군 지역내 집돼지 전량 살처분이라는 정부의 대책은 접경지역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잇따라 검출되면서 그 시효가 끝났다고 봐야 하낟"며 "국가 방역의 기본 틀은 유지돼야 하지만, 감염 주요 원인인 멧돼지보다는 집돼지 살처분이라는 정책은 정부 방역의 기본을 벗어난 것으로 철회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돈협회는 또 "경기 파주·김포에 이어 연천지역내 집돼지 전량 살처분 경정에도 반대한다"며 "지난달 17일과 이달 9일 ASF가 확진된 두 농장은 임진강변에서도 떨어져 있고 아무런 역학적 관계도 없다"고 했다.

한돈협회는 "실제로 신서면 인근 휴전선 철책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야생 멧돼지가 발견됐고, 해당 농장에 멧돼지가 침입을 시도하기도 했다"며 "지난 12일에는 연천과 철원에서 감염된 야생 멧돼지가 발견되는 등 집돼지가 아닌 멧돼지가 ASF발생의 주범"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정혁수 기자 hyeoksooj@.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