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국감2019] 지난해 통신서비스 가계지출 떨어졌는데…나홀로 단말 비용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가계통신비 지출과 관련해 통신사의 통신서비스 비용은 줄어드는 반면, 제조사 단말 지출은 늘어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특히, 5G 상용화 이후 단말기 가격이 100만원 이상으로 책정되고 있어 국민 부담 가중이 높다는 목소리다.

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상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통신서비스 지출은 2017년 13만7838원에서 2018년 13만4107원으로 감소했다. 이 중 통신서비스 지출은 같은 기간 10만5527원에서 9만8614원으로 줄었으나, 통신장비(단말) 지출은 3만1943원에서 3만5223원으로 올랐다.

저가용 단말기 활성화, 통신비 인하정책과 선택약정제도 도입 및 할인율 인상 효과로 전반적인 가계통신비는 하락했지만 통신장비 지출만 늘어나는 상황이다. 5G 상용화 이후 단말기 가격이 급등해 스마트폰 구매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갤럭시S9' 출고가는 95만7000원이었지만 '갤럭시S10 5G' 출고가는 139만7000원으로 책정됐다. '갤럭시노트10'은 124만8500원, LG전자 'V50씽큐'는 119만900원이다.

이상민 의원은 '그동안 통신서비스 요금 인하 정책이 통신장비 가격 상승을 상쇄했으나, 5G 상용화 이후 통신장비 가격이 크게 상승함에 따라 국민들의 가계통신비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 된다'며 '끝없이 상승하는 단말기 가격에 대한 대책 등 5G 맞춤형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을 마련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가의 통신장비 출시는 수리비 상승을 동반할 것'이라며 '해외 주요국에서 도입하고 있는 전파‧통신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3의 사업자가 통신장비를 수리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등 통신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