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발길 끊은 韓, 여전히 오는 日…엇갈린 한일 관광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유승목 기자] [8월 방일 한국인 전년比 48% 감소, 방한 일본인 4.6% 증가…일본시장 성장률 한 자릿수 둔화는 걱정거리]

머니투데이

한일 관광시장의 희비가 엇갈렸다. '일본여행 보이콧' 효과가 드러나며 일본 인바운드(외국인의 국내여행) 시장에 경고등이 켜진 반면, '신(新)한류' 바람을 탄 일본인들의 한국행 발걸음은 여전하다. 하지만 매월 두 자릿수 성장세를 구가하던 일본시장이 성장률이 주춤하며 한국관광에도 위기감이 감돈다.

23일 한국관광공사와 일본정부관광국(JNTO)이 각각 발표한 8월 외국인 방문객 통계에 따르면 방일 한국인관광객 수는 30만87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8% 감소했지만, 방한 일본인관광객 수는 32만9652명으로 4.6% 증가했다. 최근 수년 간 오는 일본인보다 가는 한국인이 많았던 양국 관광교류 규모가 역전됐다.

일본은 우리 국민들의 최고 인기여행지로 꼽혀온 만큼, 평소대로라면 8월 성수기를 맞아 늘었어야 하지만 오히려 역성장했다. 그것도 예년에 비해 반토막 수준까지 쪼그라들었다. 한일갈등에 따른 불매운동 확산으로 일본 여행심리가 바닥을 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7월부터 불거진 여행불매 효과가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한 것인데, 남은 하반기 감소폭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로 인해 내년 올림픽을 앞두고 외국인관광객 4000만 명을 유치해 '관광대국'으로 거듭나겠다는 일본 정부의 계획도 차질을 빚게 됐다. 특히 도쿄나 오사카 등 대도시가 아닌 지역도시 관광에서 차지하는 한국 관광객의 비중이 절대적이라는 점에서 일본 관광업계와 주요 언론들은 이번 결과로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는다.

반면 똑같은 갈등 상황에서도 방한 일본시장은 아직 평온하다. 이는 개별여행(FIT) 중심의 일본 여행객들이 정치적 이슈에 다소 둔감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방한 일본관광은 K-팝과 K-뷰티 등 이른바 '신한류'에 열광하는 2030대 여성과 모녀 여행객이 이끄는데, 이들은 국내 정치 영향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머니투데이

지난7월 오전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역 인근 일본의 경제보복을 규탄하는 현수막이 붙은 노점상 매대 앞을 일본인 관광객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하지만 이 같은 결과를 두고 일희일비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내 방한관광시장 역시 일본관광객이 20% 가량을 차지해 방한 일본시장이 위축되면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높은 성장세를 지속해온 방한 일본관광객 성장세가 이달 들어 한 자릿수로 둔화한 결과를 비춰볼 때, 한일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역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단순히 양국 관광교류 뿐 아니라 중국과 동남아 등 주요 시장의 향방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 시장 위축을 염려한 일본이 최근 중국 관광객 모시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유커를 대상으로 전자 비자 시스템을 도입, 까다로운 비자 발급 절차를 대폭 개선하고 라인페이와 위챗페이의 결제 연동 등 여행편의를 높이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한국 관광객 감소를 중국시장 확대로 상쇄하겠다는 전략인데, 이는 한국 관광시장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중국은 관광객 수 등 여러 측면에서 한일 양국 모두에게 관광 큰 손이다. 중국 입장에서 한국과 일본의 관광성격이 비슷한 점이 많아 일본의 적극적인 공세에 한국행을 고려하던 중국을 비롯, 대만, 홍콩 등 중화권 관광객도 흡수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방한 관광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관광당국은 일본여행 불매로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국내여행을 활성화해 관광 체질개선에 나서는 한편, 방한시장 안정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일본인 관광객 성장세가 다소 둔화돼 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최근 대대적인 방한관광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데 중화권에는 한류스타를 활용한 특화 마케팅을 진행했고, 일본은 정치갈등을 고려해 현지화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승목 기자 mo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