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4 (금)

[사설]제조업 공동화, 심각하게 바라봐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도체·부품뿐만 아니라 가전, TV 등 완제품 수출에도 이상 기류가 흐르고 있다. 일부 주력 가전제품의 올 상반기 수출 규모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많게는 30% 가까이 빠졌다. 17일 한국무역협회는 올해 상반기 무선전화기 수출액이 27억16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9% 줄었다고 밝혔다. 가전제품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컬러TV 수출액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31.4% 빠지면서 3억7400만달러로 주저앉았다. 에어컨도 전년에 비해 30.7% 떨어졌다. 그나마 세탁기와 냉장고가 상반기에 비해 선방했지만 성장률은 소폭에 그쳤다.

수출 감소도 심각하지만 더 큰 문제는 감소 배경이다. 무역협회는 국내 생산 기반이 해외로 옮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해외 생산 거점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수출도 줄었다는 것이다. 보호무역주의 등으로 우려한 제조업 공동화가 현실로 나타났다. 무역협회 측은 “해외 생산은 경쟁 심화, 보호무역, 소비지 인접 생산 등으로 불가피하게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 협회에서 완곡하게 표현했지만 제조업 공동화는 단순하게 시장 흐름으로 넘길 사안이 아니다.

생산 거점 이전에 따른 파장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여러 분야에 악영향을 미친다. 가장 먼저 일자리가 타격받게 된다. 일자리는 당장 시급한 현안이다. 늘리지는 못할망정 줄어 든다면 허투루 넘길 문제가 아니다. 국내에서 애써 개발한 기술이 유출될 공산도 크다. 당연히 수출을 포함해 무역수지 적자도 불가피하다.

무엇보다 시장 역동성이다. 생산 거점이 무너지면서 시장도 활력을 잃고, 생태계가 붕괴될 수도 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이 시장 흐름에 맡겨 공장 이전을 방치하다가 최근 제조업 턴어라운드에 심혈을 기울이는 배경이다. 국내도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사태가 더 악화되기 전에 공동화를 막을 수 있는 유인책을 찾아야 한다. 제조업이 무너졌다지만 아직도 국내 산업을 이끄는 주력은 제조업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