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KIST·KAIST·ETRI·화학연 등 4곳, '연구장비 공동활용 전문시설' 조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News1 오장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실별로 흩어져 사용되던 연구장비를 연구분야별로 한 곳에 모아 공동 활용하도록 하는 '핵심연구지원시설 조성 사업'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한국화학연구원 등 4곳을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 2018년 시범사업 이후 올해 본사업으로 추진된다. 출연연 등 공공기관에 구축된 고가 연구장비들의 공동활용을 넘어 특정 연구분야 장비를 집적화하고 전문인력이 양질의 연구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KIST는 바이오이미징 연계분석 지원 플랫폼 핵심시설, KAIST는 바이오코어센터, ETRI는 차세대 ICT융합집적화센터, 한국화학연구원은 화학물질·제품 환경규제대응 종합분석플랫폼 등 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들은 올해 말까지 시설을 조성하고 시범운영기간을 거쳐 오는 2020년 중 본격적으로 개방된다.

과기정통부는 장비를 핵심연구지원시설로 옮기고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시설조성비용, 연구장비 유지·보수비, 장비전담인력 인건비 등 시설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3년간 지원한다. 시설이 안정적으로 운영돼 앞으로 3년 후에는 자립할 수 있도록 사업 초기단계에 시설·장비 운영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컨설팅단을 구성해 지원한다. 연구장비들은 'ZEUS' 장비 예약서비스를 통해 기관 외부 연구자들도 공동활용 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국가 R&D 예산으로 구축된 장비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공공기관의 연구시설이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대내외에 개방함으로써 국가 R&D 혁신역량 향상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촉매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somangchoi@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