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이란 “유럽, 제재복원 나서면 북한처럼 NPT 탈퇴” 경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란이 북한처럼 핵확산금지조약(NPT)에 탈퇴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유럽의 스냅백(제재복원) 가능성에 맞불을 놨다.

2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28일 열리는 이란핵합의 당사국 회의를 앞두고 이란의 한 관리가 기자들에게 “2015년에 타결된 이란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가 파탄 나 유럽이 미국처럼 스냅백(제재복원)에 나설 시 현재의 관여정책을 포기하고 북한이 한 것처럼 신속하게 NPT를 탈퇴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회의에는 이 합의에서 탈퇴한 미국을 제외하고 프랑스, 독일, 영국, 중국, 러시아, 이란 등 서명국의 고위급 대표가 참석한다.

이 관리는 이란에서 몇몇 사람들이 하는 말이라며 “당신이 순진했으니, 제발 북한인들로부터 교훈을 얻어라. 당신이 관여하기로 결정했고, 협상하기로 결정했다. 또 그 결과는 제재는 이전보다 훨씬 더 나쁜 쪽으로 되돌려졌다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 관리는 2000년대 초반 서방의 비난에도 NPT를 탈퇴, 소량의 핵무기를 제조한 북한으로부터 배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란은 1970년 NPT를 비준했다.

이런 경고는 이미 이란핵합의 당사국들에도 전달됐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 관리는 “NPT에서 나가는 것이 즉각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이는 3개월 전에 미리 통지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설사 그런 시나리오에서조차 외교를 통한 해결의 기회는 남아 있을 것이라고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란의 경고에 대해 이란핵합의를 둘러싼 유럽국가들과의 대화에서 NPT 참여 문제를 지렛대로 삼겠다는 뜻을 처음으로 분명히 밝힌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밖에 이 관리는 이란핵합의를 유지하기 위한 회의를 통해 1년 전 미국의 제재 발효 이전 수준의 석유 판매를 되살려내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리는 “우리는 유럽인들에게 이란에 투자해 달라고 요청하지 않는다. 우리는 단지 우리의 석유를 팔기를 원한다”라고 말했다.
/노현섭기자 hit8129@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