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녹조 세포, 낙동강 3만개·금강 0개…왜일까?

댓글 7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낙동강 8개 보 지점서 모두 녹조 발생

가장 하류 위치 창녕함안보 3만cells/㎖

금강 세종보·공주보·백제보 0cells/㎖

환경단체 “보 개방이 녹조 문제 해결 방안”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대강 보 개방이 올여름 낙동강과 금강의 운명을 가르고 있다. 무더위 시작과 함께 지난 20일 낙동강에서 올해 첫 조류경보가 발령됐지만, 금강에서는 녹조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을 보면, 지난달 20일부터 지난 17일까지 낙동강 8개 보 모든 지점에서 녹조가 발생했다. 특히 지난 17일 기준, 상수원 구간인 창녕함안 지점에서 약 4㎞ 떨어진 창녕함안보 지점의 유해남조류 세포수(cells/㎖)는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되기도 전에 벌써 3만개 훌쩍 넘겼다. 창녕함안보는 낙동강 가장 하류에 있는 보다. 같은 날 기준 낙동강 유해남조류 세포수는 구미보 657개, 칠곡보 3260개, 강정고령보 5909개, 달성보 4176개, 합천창녕보 2만4785개, 창녕함안보 3만7868개 등으로 하류 쪽으로 갈수록 조류도 대체로 뚜렷하게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 21일 낙동강 현장을 조사한 임희자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은 “식수를 취수하는 창녕함안 본포취수장 등을 포함해 우강리 배수장, 계성천 합류부 등 물 흐름이 정체된 낙동강 곳곳에서 녹조 알갱이가 올라오고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금강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등 3개 보의 유해남조류 세포수는 0개를 기록했다. 지난 21일 금강 현장에 나간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는 “6월 초 보다 탁도가 높아지긴 했지만 보 수문 개방 전에 ‘녹조라떼’라고 할 정도로 녹조가 창궐했던 것에 비하면 수질이 매우 양호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녹조 발생 원인으로는 보 설치 외에도 폭염과 집중호우에 따른 수온 상승도 주요하게 꼽힌다. 하지만 최근 이 두 지역에 집중호우는 없었고 수온도 비슷했다. 지난 10일 수온이 24℃를 기록한 낙동강 달성보, 합천창녕보의 유해남조류 세포수는 1만개를 넘어섰으나, 지난 17일 같은 수온을 기록한 금강 백제보에서는 녹조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에서는 보 개방이 금강의 녹조 개선에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안숙희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 활동가는 “보 개방 차이에 따라 녹조 발생에서 낙동강과 금강의 상황이 극명하게 갈렸다”며 “보 수문 개방이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효과적으로 녹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금강 세종보와 공주보는 지난해 1, 3월 각각 전면 개방됐고, 현재 하류 백제보 수문만 닫힌 상태다. 낙동강 8개 보는 모두 개방하지 않은 채 물을 담아놓고 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4대강 보 수문 상시개방과 처리방안 마련을 지시했지만, 아직도 낙동강 보 개방과 관련한 계획은 세워지지 않은 상황이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좀 더 생생한 뉴스,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