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암유전체 연구 초석 놓는다…아시아 데이터센터 유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국립암센터·서울대, 영국서 양해각서

연합뉴스

암유전체 연구 기반 시설 국내 유치
서울대 김선 교수(왼쪽 두번째부터), KISTI 염민선 슈퍼컴퓨팅응용센터장, 국립암센터 이은숙 원장이 지난 28일(현지시각) ICGC-ARGO 지역데이터센터 유치 및 운영에 관한 양해 각서에 서명하는 모습 [KISTI 제공]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암유전체 연구 기반 시설인 아시아 지역 데이터센터가 우리나라에 들어선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지난 28일(현지시각) 영국 글래스고대학에서 열린 국제 암유전체 컨소시엄(ICGC) 프로젝트 워크숍에서 지역 데이터센터(Regional Data Processing Center·RDPC) 유치 양해각서에 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국립암센터와 서울대도 함께 이름을 올렸다.

RDPC는 'ARGO'(Accelerating Research in Genomic Oncology) 프로젝트 참여국에서 생산된 유전체 데이터를 검증하는 한편 중앙 데이터센터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RGO 프로젝트는 환자별 최적 맞춤 치료를 목표로 하는 정밀의료 연구 사업이다. 11개국 암유전체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KISTI·국립암센터·서울대는 연간 최대 1만 건의 유전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곳에서는 일본과 중국 등 아시아 국가 유전체 데이터를 다룬다.

암유전체 데이터 공유·분석 환경을 통해 국내 암유전체 연구가 활성화할 것으로 KISTI는 내다봤다.

최희윤 KISTI 원장은 "KISTI, 국립암센터, 서울대가 가진 전문성을 모아 성공적인 협업 사례를 제시했다"며 "암유전체 분야 글로벌 기여와 더불어 국내 생명의료 분야 연구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walde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