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8 (수)

옆구리 ‘김칫국물 자국’, 한국동박새 아시나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애니멀피플]윤순영의 자연 관찰 일기

예민하고 보기 힘든 나그네새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박새란 이름만 들어도 친근감이 느껴지는 귀여운 새다. 동박새는 동백나무가 많은 남해안과 서해안 도서지방, 해안지대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여서 그럴 것이다.

다른 새들처럼 사람을 피하거나 놀라지 않고 가까이 다가와 지내는 온순한 새다. 먹이는 식물성으로 주로 꿀과 열매 그리고 작은 애벌레를 잡아먹기도 한다.

동박새는 혀끝에 붓 모양의 돌기가 있어서 꿀을 빨 때 편리하다. 특히 동백꽃의 꿀을 좋아하는데, 벌과 나비가 본격적으로 나오기 전인 이름 봄 동백나무에서 무리 지어 꿀을 빨아 먹으며 꽃가루받이를 돕는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런 동박새와 다른 한국동박새도 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5월 12일 우리 곁에 흔치 않은 한국동박새를 만났다. 일반적으로 동박새는 알아도 한국동박새란 새가 있는지는 모르는 이들이 많다.

3일 동안 관찰할 수 있는 행운이 찾아왔다. 나그네새이기 때문에 잠시 머물다 가면 볼 수 없고, 다음에 또 볼 수 있다는 보장도 없다.

요즘은 오전 6시면 날이 밝는다. 새들이 이른 아침부터 부지런히 움직인다. 한국동박새도 예외는 아니다.

봄철 이동 시기에 한국동박새는 10~20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를 이루는데 30마리가 넘기도 한다. 무리 지어 나뭇가지와 나뭇잎에 몸을 숨기며 오가면서 먹이를 먹는다. 무리를 이루는 것은 안전을 위해 중요한 전략이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동박새는 오전에 활발하게 활동하고 오후에는 거의 움직임을 눈치챌 수 없을 정도로 조용하다. 아주 짧은 거리도 무리를 지어 이동하며, 절대로 혼자 무리를 이탈하지 않는다.

조금이라도 위협 요인이 되는 소리가 들리거나 위협을 가할 새가 나타나면 재빨리 나뭇잎 사이로 몸을 숨기거나 피한다. 아예 움직임을 멈추고 주변이 안전한 것이 확인되면 다시 무리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치밀함도 보인다.

좀처럼 모습을 보여 주지 않는 것이 한국동박새다. 관찰하는 동안에도 민첩하고 은밀하게 움직여 좀처럼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시야에서 바로바로 사라지기 일쑤다.

일상처럼 이런 행동이 반복된다. 한국동박새가 현란하게 움직이는 것을 따라가다 보면 정신이 없다. 이런 행동은 천적을 교란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동박새를 자세히 관찰하거나 촬영하는 데 애를 먹었다. 일반적인 새들에 비해 지나칠 정도로 예민했다. 그러나 조심성은 한국동박새가 살아가는 유일한 방편이다.

텃새인 동박새의 친숙함과 여유 그리고 호기심 많은 행동을 찾아볼 수 없었다. 동박새들은 좀처럼 땅으로 내려오지 않는 새다. 한국동박새도 동박새와 비슷하게 상록수림을 선호하지만, 한국동박새와 동박새는 생활습성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

한국동박새는 울음소리가 동박새와 다르고 매우 예민하여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고 조심성 있게 은밀하게 무리가 움직이는 것이 동박새와 크게 다르다. 한국동박새나 동박새의 애정표현은 유난히 귀엽다. 서로 곁에 앉아 몸을 치장하고 부부의 애정을 확인하면서 사랑을 나누는 모습은 이루 말할 수 없도록 깜찍하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동박새는 남한을 지나가는 나그네새다. 봄에는 5월 초순과 중순 사이, 가을에는 9월 중순과 10월 중순 사이에 관찰된다. 북한, 우수리, 러시아 동아시아, 중국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중국 서남부와 인도지나 반도의 미얀마, 타이,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북서부에서 월동한다.

한국동박새의 몸길이는 11㎝인 동박새보다 다소 작은 10.5㎝다. 옆구리엔 뚜렷한 붉은 밤색 무늬가 아주 선명하다. 잘 익은 김칫국물로 찍어놓은 얼룩 같다. 일부 흐린 개체도 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동박새는 노란색 멱과 흰색 가슴의 경계가 명확하다. 가슴 옆은 회색이 감돌고 가슴은 회색이 도는 흰색, 부리 기부와 아래 부리는 연한 분홍빛이다.

아래 꼬리덮깃은 노란색이다. 이마에서 등 위 꼬리덮깃까지 윗면은 흐릿한 녹색과 노란색을 혼합한 듯한 색이다. 눈 둘레에는 흰색 고리 모양이 뚜렷하다.

흰 고리 선이 끝나 연결되지 않은 눈 앞쪽은 검은색이다. 턱밑과 멱은 노란색, 배는 흰색, 가슴은 회색이 도는 흰색, 가슴 옆은 회색이다. 배는 흰색, 암컷은 온몸의 빛깔이 희미한 편이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동박새의 생태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먹이로는 주로 거미류, 애벌레, 진드기류, 딱정벌레, 나비, 매미, 메뚜기, 잠자리 등을 잡아먹으며 작은 꽃과 꽃가루, 꽃꿀 등을 먹는다. 5~6월에 한배에 4~5개의 알을 낳아 11~12일 동안 품는다. 새끼의 성장 기간은 11~13일이다. 다양한 환경의 산림에 서식한다.

5월 14일 갑자기 한국동박새 무리가 나뭇잎 사이에서 쏜살같이 뛰쳐나와 멀리 사라진다. 머물고 있던 곳에서 미련 없이 떠나는 느낌을 받았다.

나그네새가 중간 기착지에서 머무는 기간은 종마다 다르다. 길게는 15일, 짧게는 3~4일이다. 지금쯤 한국동박새는 이미 만주의 번식지에 도착해 신혼살림을 꾸렸을 것이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디렉터 이경희, 김응성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영상 그 이상 ‘영상+’]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