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8 (일)

[사설] 강릉 수소탱크 폭발… 정부 과제로 떠오른 ‘수소경제’ 불안 불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강원테크노파크 강릉벤처 1공장 옆 수소탱크 폭발사고 현장 모습. 강릉=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릉과학산업단지 내 강원테크노파크 벤처공장에서 23일 수소탱크가 폭발해 견학 온 벤처기업인 2명이 숨지고 6명이 다치는 인명 피해가 났다. 이 수소탱크는 신재생에너지업체가 시험 운영하던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해 물을 분해해서 수소를 만들고 이 수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소규모 수소연료 발전소 설비의 일부였다. 국비 45억원을 포함해 모두 62억원을 투입한 사업으로 조만간 시험가동을 마치고 정식 운영을 앞둔 상황에서 사고가 났다.

수소충전소는 물론이고 수소연료 발전 과정의 탱크 폭발은 세계적으로 사례가 드물다. 버젓이 사고가 난 마당에 정부 당국자가 “수소를 생산ㆍ저장ㆍ유통ㆍ활용하는 지역에서는 글로벌 수준의 적합한 안전기준에 의해 관리되고 있고 잘 지켜지고 있다”고 말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사고 원인은 당국의 조사로 밝혀지겠지만 시험가동 중 발생했다는 점에서 탱크 용기 부실 시공이나 관리ᆞ운영업체의 안전점검 미비, 조작 미숙 등을 두루 의심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지난 1월 정부는 수소경제를 미래성장 동력으로 삼아 적극 육성하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2040년까지 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이 전략에는 수소차 620만대 생산, 4년 내 수소충전소 310곳 설치 등의 계획이 담겨 있다. 구상대로라면 수소탱크가 국민 일상생활 속으로 들어오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번처럼 잘못 다룰 경우 큰 폭발 가능성 때문에 수소차나 충전소, 발전소 등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거부감과 불안감이 없지 않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사고 탱크는 상대적으로 낮은 10bar 정도의 압력에 견디는 이음매 있는 용기이지만 수소차나 충전소 탱크는 용접 없이 700bar에도 견디는 전혀 다른 종류라고 한다. 특히 수소차 연료탱크는 탄소섬유로 감아 용광로 안이나 수심 7,000m에서도 터지지 않을 정도로 안전하다고 한다.

그럼에도 이번과 같은 사고가 한 번 발생하면 불안은 증폭되기 마련이고, 자칫 국가경제의 밑그림인 성장 전략 자체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 정부도, 사업자도 마음만 급해서 될 일이 아니다. 안전에 빈틈이 없는지 꼼꼼하게 전체 사업을 재점검해야 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