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포항 이산화탄소 저장시설 지진과 연관성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저장시설. 사진=공주대


포항 영일만의 이산화탄소 저장시설은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의뢰를 받아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가 포항지진 관련성 조사 연구단을 꾸려 조사한 결과, 이산화탄소 지중저장(CCS) 사업부지에는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단층이 발견되지 않았다.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으로 인해 연구시설에 대한 지자체와 주민의 불안과 우려가 발생해 연구과제 수행이 중지된 상태다. 포항지역 주민들은 현재 지난 3월 20일 지열발전소가 땅속에 가한 수압으로 지진을 촉발했다는 정부 합동조사단의 발표로 CCS시설까지 없애라고 요구하고 있다.

실증 연구팀은 CCS사업의 지진유발 가능성과 누출 가능성 등 포항 영일만 실증연구의 안전성에 대해 자체 조사 연구를 수행했다. CCS사업 연구책임자인 권이균 공주대 교수는 "지진유발 및 누출의 가능성이 크지 않으며 실증 연구 사업이 안전성을 고려해 추진돼 왔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신영재 책임연구원은 영일만 해역 포항분지에서 초임계(기체와 액체의 중간) 상태의 소규모 이산화탄소 주입이 가능한 지층의 유무와 지질구조 파악을 위해 다양한 지구물리 탐사와 탐사공을 시추했다. 신영재 연구원은 "분석 결과, 탄성파 단면에서 해저면 부근까지 발달한 단층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관찰된 단층면이 천부 혹은 해저면까지 연장되지 않는 것은 이들 단층이 분지 형성 초기에 생성된 고기 단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에 조사된 대상 지층은 수 미터 정도 두께의 사암 및 역암 층들이 누적돼 나타나고, 대부분 초임계상의 이산화탄소 주입이 가능한 심도에 분포하고 있어 소규모 이산화탄소 저장층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됐다.

장찬동 충남대 교수는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저장 저류층 내 지질역학 분석을 위해 다양한 기법을 통해 저류층 응력측정을 했으며 그 결과를 영일만 지역 탄성파탐사를 통해 규명한 단층들에 적용해 분석했다. 또 오주원 전북대 교수는 CCS로 유명한 노르웨이의 슬라이프너, 미국의 디케이터, 캐나다의 웨이번, 알제리의 인살라, 호주의 오트웨이, 일본의 토마코마이 프로젝트와 포항 영일만 CCS 사업의 저장지 특성을 비교했다. 또 해외 유발지진 사례 분석을 통해 포항 영일만 CCS 사업과 포항지진의 연관성을 검토했다.

국내외 자문을 활용한 분석에서도 포항 영일만 CCS 프로젝트의 포항 지진 발생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연구단의 책임자인 김형수 중원대 교수는 "연간 2만t의 이산화탄소 주입 실증 프로젝트에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망했다. 김형수 교수는 "향후 타 지역에서 상업적 규모의 CCS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대상 지역의 지진활동도 조사 및 해저면 수진기 시스템을 포함한 미소 지진 모니터링 방안과 독일의 연방광업법과 같은 피해 발생 시의 배상 방안 등의 공공수용성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이균 교수는 "향후 추진될 CCS 사업은 안전성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 및 누출 감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공개해 사업의 안전성에 대한 시민사회의 수용성을 확보해 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는 24일 오후 2시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 대강당에서 '포항영일만 CO2 저장실증 연구와 2017 포항지진관련성 조사 결과 발표회'를 갖는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