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비하인드 뉴스] 나경원이 말하는 '좋은 독재'와 '나쁜 독재'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비하인드 뉴스 시간입니다. 이성대 기자 나와 있습니다. 첫 번째 키워드 볼까요.

[기자]

첫 번째 키워드 보겠습니다. < 독재란 이런 거다 >

[앵커]

오늘(3일) 뉴스 앞부분 보도에서도 독재 이야기 많이 나왔는데 요즘 정치권에서 나오는 독재의 이야기인가 보죠?

[앵커]

그렇습니다. 말한 대로 자유한국당, 보신 것처럼 독재 타도, 헌법수호 이렇게 계속 외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루에도 수십 번씩 독재라는 표현을 거론하고 있는데 어제도 나경원 원내대표가 대구에서 이런 발언을 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나경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어제) : 많은 사람들이 유신헌법 이후에 독재를 이야기합니다. 그때는 개발을 위한 독재가 있었다면, 지금 좌파독재는 망국으로 가는 독재입니다…(정부·여당은) 독재 얘기하면 화들짝 놀라면서 아니라고 합니다. 그러나 여러분 지금 말을 할 수 있는 자유가 있습니까?]

[앵커]

듣기에 따라서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유신독재는 경제 개발을 위한 것이니까 좋은 독재였다 이렇게 해석이 될 수도 있겠군요. 그런데 독재 정권을 옹호하는 것이냐, 독재를 옹호하는 것이냐 이 부분에 대해서는 논란이 될 수 있겠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우선 독재를 좋은 독재냐, 나쁜 독재냐, 나눌 수 있냐 여기에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독재의 반대 개념이 민주주의 개념으로 볼 수가 있는데 그렇다면 나쁜 민주주의, 나쁜 민주주의라는 표현이 좀 어색한 것처럼 좋은 독재라는 표현 역시 조금 어색한 것이 아니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모든 독재는 나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겠죠.

그러자 오늘 소설가입니다, 김진명 씨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독재라는 것은 흔히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등의 군사독재정권을 일컫는데 이런 정권의 후신인 자유한국당이 지금 거꾸로 독재타도를 외치는 것은 세상이 참 우습다, 세상이 참 우습다"라는 식으로 표현을 했거든요.

참고로 김진명 씨는 베스트셀러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로 알려져 있죠.

그 책에서는 박정희 정권의 핵개발을 상당히 긍정적으로 옹호했던 작가입니다.

그것과 독재는 별개라는 것이죠.

[앵커]

그렇죠. 사실 독재라는 개념이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닌데 이번 패스트트랙 정국을 거치면서 이 개념에 혼란이 좀 생긴 것 같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독재란 무엇인가 이것이 무슨 상당히 어려운 물리학 개념, 양자역학 같은 개념같이 어려운 개념이 아닙니다.

보시는 것처럼 초등학생들도 이해할 수 있는 이런 '독재란 이런 거예요'라는 어떤 아동용 동화책 같은 것도 나와 있습니다.

[앵커]

실제 있는 책입니까?

[기자]

되게 유명한 상도 받은 동화책인데 이 책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독재 정의에 대해서 여러 가지 정의가 나오는데 그중에 하나 "독재정권에서는 독재자가 허락한 것만 생각할 수 있다. 또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은 부당한 대우를 받게 된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이 기준에 넣어보면 아까 나경원 원내대표가 언급한 박정희 정권 시절과 지금과 어떤 것이 독재냐라는 것은 알아서 판단이 가능한 것이 아니냐라고 볼 수가 있는 것이고요.

그러니까 오늘 민주당에서는 또 이런 논평을 내놨습니다.

"회의를 방해하면서 국회에서 독재타도를 외치다 밖에 나가서 독재의 본령인 군사독재를 옹호하니 한편의 코미디와 같다"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두 번째 키워드 가볼까요?

[기자]

두 번째 키워드 보겠습니다. < 또 구로다 >

[앵커]

구로다. 어떤 내용입니까?

[기자]

일본 우익 성향의 산케이신문이 있습니다.

그 신문의 구로다 가쓰히로 기자 이야기인데 오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외신을 상대로 기자회견을 했는데 여기서 질문을 했습니다.

그 질문 직접 들어보시죠.

[구로다 가쓰히로/산케이신문 기자 (화면출처: 외교부) : 일본에 있어서는 역사 문제를 오히려 한국이 국내 정치에 이용하고 있다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올해는 3·1 100주년이었고요. 그리고 친일청산 같은 이야기들 여러 날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앵커]

워낙 서울에 오래 있었던 특파원이라 낯익어하는 시청자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어제 이제 문재인 대통령이 요즘을 일본이 자꾸 한·일 관계를 자국 내 정치에 이용하려고 하면서 이제 문제를 증폭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이렇게 이야기하지 않았습니까? 이 발언에 대한 어떤 반박성 질문같이 들리는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그에 대한 반박으로 해석이 되니까 바로 강경화 장관이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 같은 것은 우리 정부로서는 너무 당연하게 해야 되는 것이다, 이것을 국내 정치적으로 이용한다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오히려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냐라고 반박을 했습니다.

[앵커]

산케이신문은 일본 잘 알려진 대로 극우언론 아닙니까? 특히 한·미 관계 왜곡하는 그런 오보를 하기도 했었고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 독도 문제 같은 거 가지고서도 이제 계속 오보. 그리고 극우의 목소리를 계속 반영을 하는 그런 부분이 있었었는데 구로다 기자 역시 한국에서 수십 년 동안 활동한 대표적인 극우 성향 언론인 아닙니까? 계속 논란이 끊이지 않았었죠?

[기자]

그렇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되게 여러 가지 망언이라고 표현되는 것이 있는데 몇 가지만 좀 추려서 가져왔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한국 차마 이것이 읽기가 애매한 표현인데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서 이런 식으로 망언을 했습니다.

두 번째 보시면 "손기정의 쾌거는 일본 근대화의 성과다" 일본의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해서 대놓고 옹호를 하고 있는 입장입니다.

여러 차례 밝혔고요.

세 번째 보시면 구로다 또 막말. "일본해가 싫으면 일본뇌염이라는 말도 쓰지 마라" 이것은 사실 막말이라기보다는 좀 개그성, 좀 어이 없는 개그성인데요.

어쨌든 막말입니다.

마지막 보시면 또 망언, "한국 남자들 여자로서 김연아보다 아사다 마오를 좋아한다" 어떤 근거로 이런 얘기를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특히 국내 정치에 대해서도 상당히 망언들을 많이 했고 또 논란이 되는 망언을 많이 했는데 보시면 "결과적으로 나라를 잘 살게 하고 지금의 대한민국 발전의 시초를 만든 건 박정희 대통령이다. 우리가 볼 때 결국 북한의 김정일보다는 김일성보다 남측의 박정희가 민족주의자, 애국주의자였다"라고 앞서 보신 것처럼 한국당의 나경원 원내대표의 발언과 논리적 구조가 좀 비슷하게 읽힐 수 있는 대목입니다.

[앵커]

일본에서 일왕이 새로 즉위하면서 이참에 여러 가지 한·일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라는 목소리가 양국에서도 많이 나오고 있는데 이런 거 보면 일본 극우세력들 사이에서는 한·일 관계 개선은 과연 바라고 있는 것일까 이런 생각도 해 보게 됩니다. 잘 들었습니다.

이성대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