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국민연금 수급자 99.4% "퇴직 후 소비 줄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생활비 201만원, 적정 생활비 264만원에 크게 못미쳐

상류층 6%, 중산층 25% "저소득층으로 이동" 답변

52% "추가 자금원 마련 계획 없다" 33% "자녀가 부양"

CBS노컷뉴스 임진수 기자

노컷뉴스

(그래픽=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급자 가운데 단 0.6%만이 퇴직 전 수준의 소비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우리 국민의 노후대비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2일 국민연금 수급자(65세~74세) 650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국내 국민연금 수급자의 은퇴생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 수급자의 노후생활비용은 201만원으로 적정 생활비용인 264만원에 크게 모자라며, 국민연금 수급자의 62%는 수급액 전액을 생활비용으로 지출했다.

특히, 은퇴 후 소비수준이 은퇴 전 대비 50% 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48.6%에 달했으며, 현역시기와 비슷한 소비수준을 유지하는 비중은 0.6%에 불과했다.

은퇴전 상류층의 81.3%가 중산층으로 이동, 6.3%가 저소득층으로 이동했으며, 중산층은 퇴직 후 25.9%가 저소득층으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컷뉴스

고령층의 은퇴 전후 소득계층 변화 (그래프=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국민연금 수급자의 41.7%가 40대부터 노후자금을 저축하기 시작했으나, 보유 금융자산의 소진 예상 시기는 평균 82세로 100세 시대의 노후자금 마련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았다.

추가적인 자금원 마련에 대해서도 수급자의 52.6%는 아예 없다고 응답하거나, 33.8%는 자녀의 부양을 기대한다고 응답해 노후생활자금 마련에 소극적이었다.

향후 희망 금융자산으로 중산층은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추가소득원으로 연금을 선호한 반면 저소득층은 비용절감 목적의 건강보험을 가장 선호했다.

퇴직후 국민연금 수급자의 42.3%가 소득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소득활동 주요 이유로 47.3%가 생활비 마련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소일거리 목적'(18.5%), '자아실현'(8.4%), '소속감'(9.1%), '보람'(7.3%) 등 금전외의 감성적 충족을 위한 요인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73.5%가 건강, 사회교류, 취미활동 등 비재무적 은퇴준비가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건강으로 조사됐다.

조사를 진행한 김지현 수석연구원은 "현재 42.3%인 수급자의 소득활동 참가율을 최대한 끌어올려 경제력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자아실현을 통한 감성적 충족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