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기로에 선 손학규…사면초가 속 이번주 정면돌파 '승부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른정당계 이어 안철수계 '孫 사퇴론' 동조…갈등 최고조

孫 '제3지대' 배수진 vs 총사퇴 연판장 충돌…금주 의총 결과 주목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가 4월 17일 오전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87차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코를 만지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방현덕 기자 = 4·3 보궐선거 참패로 거센 사퇴 압력에 직면한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가 이번 주 '정치적 승부수'를 던질 것으로 보인다.

손 대표는 바른정당계뿐 아니라 당의 다른 한 축인 국민의당계 일각에서도 사퇴 요구를 받고 있다. 그야말로 사면초가다.

여기에 지난 18일 의원총회에서 분출된 당내 갈등은 이번 주중 절정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손 대표는 이번 주 '대표직 유지'라는 정면돌파 카드를 꺼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손 대표는 오는 22일 최고위원회의를 전후해 공석 중인 지명직 최고위원 2명을 임명함으로써 바른정당계 최고위원 3명의 보이콧으로 '반쪽'이 된 최고위원회의 정상화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손 대표의 사퇴를 주장하며 당무를 거부하고 있는 하태경·이준석·권은희 최고위원이 "주말까지 복귀하라"는 손 대표의 지난 17일 최후통첩을 결국 거부한 데 따른 조치이기도 하다.

손 대표는 지난 19일 김수민 의원의 지역사무소 개소식에서도 "물러나라고 몇 사람이 이야기하는 데 꿈쩍 않는 것은 제가 대표 자리에 연연해서가 아니다"라며 "거대 양당에 기웃대지 말고 제3의 길을 굳건히 가면 국민은 우리에게 마음을 돌릴 것"이라고 사퇴론을 일축했다.

연합뉴스

4월 18일 국회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의원총회에서 김관영 원내대표와 지상욱 의원이 언론 공개 여부를 두고 설전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다만 손 대표의 카드가 먹혀들지는 현재로서 가늠하기 쉽지 않다. 오히려 거센 후폭풍에 휩싸일 가능성도 있다.

손 대표가 지난주부터 원내·외 인사들을 두루 접촉하며 지명직 최고위원을 제안했으나, 원내 인사 대부분은 손 대표의 제안을 거절했다는 말도 나온다. 사실상의 '구인난'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손 대표가 퇴진 요구를 일축하며 대안으로 제시한 혁신위원회 혹은 제2 창당위원회의 출범도 난항이 예상된다.

위원장 제의를 받은 정병국 의원이 사실상 거절했을 뿐 아니라 "대안을 제시 못 하면 지도부가 물러나야 한다"며 등을 돌린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손 대표의 사퇴를 요구해온 이준석 최고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손 대표가 새 최고위원을 구할 수는 있겠지만 중량감이 떨어지는 인물일 경우 그때부터는 노욕으로 생각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태경 최고위원은 "손 대표로서는 '대안체제가 생길 때까지 대표직을 맡겠다'고 밝히는 게 출구전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 최고위원은 이번 주부터 당 지도부 총사퇴를 촉구하는 지역위원장 연판장을 돌리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여기에 안철수계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안철수계로 분류되는 당 정책위의장 권은희 의원은 지난 18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르면 6월, 늦어도 9월까지 당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손 대표 퇴진론에 무게중심을 뒀다.

이는 안철수계 원외 지역위원장들이 같은 날 손 대표 사퇴를 공식 요구한 것과 맞물려 안철수 전 의원의 조기 복귀설로 연결된다.

현재 독일에 체류 중인 안 전 의원이 부인인 김미경 교수의 안식년이 끝나는 6월에 귀국, 공동창업주인 유승민 전 공동대표와 함께 새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그러나 상황을 유동적으로 만드는 변수들이 적지 않다.

당장 민주평화당과의 합당 등 호남 신당론을 주장하는 박주선·김동철 의원 등도 손 대표 퇴진에 반대하고 있다.

손 대표는 지난 14일 김관영 원내대표, 박주선·김동철 의원과 만찬을 함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손 대표가 'SOS'를 요청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오는 23∼25일께 예정된 의원총회가 어떤 식으로 전개될지도 주목된다.

김 원내대표는 더불어민주당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합의안을 명문화한 뒤 선거제 개혁안과 공수처 법안을 함께 패스트트랙(신속처리 안건)에 올리는 방안의 의총 추인을 추진 중이다. 추인이 이뤄지면 내년 총선에서 소수당이 의석수를 늘릴 수 있는 선거제 개혁이 탄력을 받게 되므로 손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사퇴 여론이 누그러들 여지가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bangh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