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2012년 KT 채용비리, 어디까지 퍼지나…"드러난 9명 외 더 많을 것"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거론된 김영선, 김희정 전 의원 "사실 무근"

중앙일보

지난달 25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정의당 청년본부, 미래당(우리미래), 청년참여연대 등 청년단체들이 자유한국당 의원 자녀들의 KT 채용비리 의혹과 관련해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2년 KT 채용 과정에서 '뒷문'으로 입사를 의뢰했던 '청탁자'가 계속 드러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부정청탁 의혹이 있는 9명 중 5명이 정·관계 인사로 드러난 데다가 KT 새노조 등에서는 "추가로 더 많은 부정청탁자들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검찰은 조만간 이석채 KT 전 회장을 한 차례 더 소환하는 등 부정 채용 청탁자와 KT 경영진 수뇌부 사이의 연결 고리를 파악할 방침이다.

19일 사정당국과 KT 새노조 등에 따르면 KT 채용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남부지검은 지금까지 알려진 부정 채용 청탁자 외에도 2012년 당시 새누리당 소속이었던 전직 국회의원들도 인사 청탁에 부정하게 관여한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KT 새노조 측은 "2012년 KT 홈고객부문 고졸 채용 과정에서 부정하게 입사한 4명의 채용을 청탁한 사람 중 2명이 전직 새누리당 소속 김희정, 김영선 의원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김희정 전 의원은 박근혜 정부 당시 여성가족부 장관을 역임했고, 김영선 전 의원은 2006년 한나라당 대표를 지냈다. 이들이 청탁을 채용한 사람들은 '관심대상자'로 따로 분류돼 특혜를 받을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지난 1일 업무방해 혐의로 구속 기소한 김모 전 KT 전무의 공소장에선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과 성모 전 한국공항공사 사장, 정모 전 동반성장위원회 사무총장 등이 자녀 및 지인의 채용을 청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추가로 이석채 전 회장을 한 차례 더 소환해 부정 채용 과정을 밝히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이미 검찰은 지난달 22일 이 전 회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고, 이 전 회장의 '측근'인 서유열 전 KT 홈고객부문 사장도 업무방해 혐의로 지난 15일 구속 기소했다. 이에 따라 결국 조만간 김성태 의원도 검찰의 소환 조사를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구속 기소된 김 전 전무와 서 전 사장은 검찰 수사에서 "윗선의 지시가 있었다"는 취지로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계 마다 '탈락'해도 '부활'…임원면접은 '무조건 합격'


김 전 전무의 공소장에 따르면 KT 채용 특혜자들은 서류전형과 인·적성 검사, 실무면접 등 실무진들이 점수를 매기는 분야에서는 아무리 낮은 등급을 받아도 '프리패스'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이 부정 채용 당사자로 지목한 한 인물은 서류전형과 인·적성검사에서 탈락하고, 1차 면접에서 'C, D, D'로 최하위 등급을 받았음에도 계속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합격 통보'를 받을 수 있었다. 적성검사 없이 인성검사만 보고 합격한 사람도 있었다. 그들 모두 마지막으로 치르는 최종 임원면접에서도 합격했다. 검찰 측은 "경영진 선에서 청탁자에 대한 정보를 모두 공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허위 사실 통해 야당 탄압" 반발도
한편 부정 청탁자로 지목된 김영선 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피의자도 아니고, 청탁과 관련된 것뿐만 아니라 어떤 일로도 KT와 부당한 일을 한 적이 없다"며 "검찰도 이미 수사 과정에서 본인과 채용비리 사건이 관련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허위 사실을 흘리고 있으며, 이는 야당 정치인을 탄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희정 전 의원 역시 이날 "채용청탁은 전혀 사실 무근이고, KT 측과 어떤 접촉도 없었다"며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한) 법적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연 기자 lee.hooye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