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제주 17곳에 세월호 추모공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끝내 닿지 못한 학생들을 기억하자

노란리본 배포…주민이 운영

2014년 4월16일 인천에서 출발해 제주로 향하던 세월호. 끝내 제주에 닿지 못한 이들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공간이 제주 전역에 설치된다. 제주지역 시민, 학생단체가 참여한 세월호촛불연대는 세월호 참사 5주기를 맞아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진상규명을 위한 ‘세월이 빛나는 마을’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프로젝트의 하나로 추자도를 제외한 제주 전역 17곳에 세월호 추모공간이 운영된다.

각 공간은 분향소가 아니라 종이배를 접으며 세월호를 기억하고, 평소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메시지로 적고 나누는 ‘기억공간’으로 운영된다. 진상규명 안내서와 노란 리본도 배포된다. 이들 추모공간은 우도면 2곳을 비롯해 구좌읍, 대정읍, 한경면, 서귀포시, 신제주도청 앞, 제주시청 어울림마당, 한림읍, 표선면, 조천읍, 안덕면, 남원읍, 애월읍, 성산읍까지 설치됐다. 공간마다 운영 일정이 다른데 빠른 곳은 9일부터, 늦은 곳은 15일부터 시작된다. 운영 주체는 모두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나선 지역 주민들이다.

16일 오후 7시에는 제주시 산지천 광장에서 추모행사를 진행한다. 17개 추모공간에서 접은 종이배를 큰 배에 싣고 세월호가 도착하기로 했던 제주항 2부두로 향하는 행진을 한다. 촛불연대는 특수제작된 큰 배를 하늘로 띄우며 가라앉지 않을 진상규명에 대한 의지를 시민들과 나눌 예정이다.

촛불연대는 또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손글씨 태그 캠페인도 진행한다. ‘세월이 빛나는 ○○(마을 이름)에서 기억하는 △△(본인 이름)입니다’를 써서 SNS에 사진을 올리고, 다음 릴레이 주자를 지목하는 방식이다. 제주에서 시작된 이 캠페인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에서 동참하고 있다.

박미라 기자 mrpark@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