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9 (월)

美 연구소가 분석한 '한미 FTA'…트럼프 말이 틀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한미 FTA가 미국의 무역적자를 키운 '재앙'이라고 비난한 뒤 이를 협정 개정의 구실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한미 FTA로 미국의 무역적자가 커진 것이 아니라 다른 교역상대국과의 적자가 이전된 것이며 오히려 미국 소비자 후생엔 이익이 됐다는 연구결과가 미국의 권위 있는 경제연구소에서 발표됐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수지 적자를 두고 한국과의 교역 탓으로 얘기해온 태도와는 반하는 분석이어서 주목됩니다.

캐서린 러스, 데버러 스웬슨 등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은 현지 시간으로 오늘(24일) 미국 비영리연구기관 전미경제연구소, NBER를 통해 발간한 논문 '무역전환과 무역적자: 한미 FTA의 사례'를 통해 이런 연구결과를 내놨습니다.

연구진은 한미 FTA에 따라 미국이 한국 상품에 부여한 관세 특혜는 미국의 전체 무역적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한국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는 더 일찍 미국과 FTA를 체결한 다른 국가들의 수출을 대체한 무역전환(trade diversion)의 결과일 뿐이라는 설명입니다.

무역전환은 양자 FTA에 따라 무역장벽을 비롯한 교역 환경이 변하면서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상대가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연구진은 한미 FTA 발효 1년 뒤인 2013년, 2년 뒤인 2014년 한미 교역실태를 분석한 결과, 무역전환 효과와 한국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의 증가량이 비슷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이 2013년 다른 대미 수출국으로부터 끌어온 대미 수출액(무역전환 총액)은 131억 달러로 산출됐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2013년 대미 상품수지 흑자는 한미 FTA 시행 전인 2011년보다 75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의 2014년 무역전환 총액은 138억 달러로 산출됐는데, 2011년과 비교할 때 2014년 대미 상품수지 흑자 증가는 118억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한국이 한미 FTA를 통해 미국의 산업을 침탈한 게 아니라 관세 특혜로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다른 수출국을 대신했다는 뜻입니다.

연구진은 무역전환에서 한국에 대미 수출을 내준 국가와 품목도 구체적으로 분석했습니다.

한국이 수출품을 가장 많이 가로챈 국가는 중국으로, 한국이 이익을 본 무역전환 총액의 50%를 차지했습니다.

멕시코(14%), 일본(6%), 방글라데시·캄보디아·파키스탄·스리랑카(6%), 베트남(5%), 인도(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무역전환의 품목을 보면 의류와 섬유, 전자제품과 그 부품, 신발, 가죽제품과 장신구, 자동차와 그 부품 등 종류가 다채로웠습니다.

연구진은 "한국이 한미 FTA로 관세인하 혜택을 보는 부문에서 무역전환이 발생했다"며 "무역전환의 상당 부분은 미국의 수입이 기존에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교역상대국에서 한국으로 넘어가는 쪽으로 이뤄졌다는 점은 더 괄목할 만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후생(소비자가 같은 제품을 더 싸게 살 수 있는 유무형의 이익)의 관점으로 볼 때 이 같은 형태의 무역전환은 한국이 더 효율적 생산자로서 선택을 받았기 때문에 유익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의 배경으로 한미 FTA가 2012년 3월 발효된 이후 한국이 대미 무역흑자 때문에 미국 내에서 거센 비판을 받았다는 사실을 지적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FTA 때문에 한국이 미국을 착취할 수 있게 됐다는 주장한 점도 검증이 필요한 면으로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한미 FTA 때문에 미국의 수입 수요가 다른 교역상대국에서 한국으로 옮겨갔다는 점은 한미 FTA로 촉발된 한국의 새로운 수출이 미국의 전체 무역적자를 확대한 게 아니라는 점을 암시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품수지 적자를 일자리 침탈로 간주하는 태도를 보이며 대선후보 시절부터 한미 FTA를 불공정 협정으로 비판해왔습니다.

한미 FTA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자동차 부문, 투자자-국가분쟁 해결제도, 무역구제 등이 일부 보완돼 올해 1월 1일부터 개정 의정서로서 계속 시행되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이 논문을 게재한 전미경제연구소는 미국 경제의 불황 시점과 종점을 선언하는 기관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연구소는 편향적이지 않은 연구를 수행하고 정관계, 재계, 학계에 연구결과를 전파하는 걸 목적으로 삼고 있습니다.

▶[핫이슈] '승리·정준영 카톡방' 전방위 수사
▶[핫이슈] 김학의·장자연 사건
▶네이버 메인에서 SBS뉴스 구독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