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울산 '해수전지' 실용화 사업 본격화…'어로용 부이'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우리해양이 공동 개발한 '해수전지 기술이 적용된 항로표지용 등부표'[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울산시는 최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 열린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 기공식을 계기로 해수전지 기반 실용화 제품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울산과기원, 한국동서발전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수전지기반 에너지 독립형 어망용 GPS 부이' 개발·보급에 나선다.

해수전지 실용화 제품으로 처음 개발되는 어망용 부이에는 태양광, LED 조명, GPS, 온도센서 등이 적용된다. 부이 위치 파악, 해수온도 자동 측정 등 사용 편의성이 향상돼 어민들의 어업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19년 지역 에너지신산업 활성화 지원 사업'에 선정돼 국비, 시비, 민자를 포함해 총 14억5천만원이 투입된다.

시는 오는 5월까지 시제품을 개발해 내구성 평가를 거친 뒤, 10∼12월 제작을 완료해 어업인 400가구에 800개가량을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 핵심기술인 해수전지는 바닷물에 포함된 나트륨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로, 울산과기원이 세계 최초로 개발해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동서발전이 준공한 10㎾h급 해수전지 에너지저장시스템을 통해 시범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쳐 실용화 가능성도 입증된 상태다.

앞서 지난 13일 시는 울산과기원에서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 기공식을 열었다. 지하 1층, 지상 5층, 전체면적 5천443㎡ 규모로 2020년 준공되는 이 센터는 해수전지와 해수 담수화, 이산화탄소 포집, 해수 수소생산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에너지 신산업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신개념 부이를 개발하는 것"이라면서 "앞으로 등부표, 구명조끼 등에도 적용해 해수전지 실용화 제품 개발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hk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