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최저임금 인상과 갈등

생산자물가 4개월째 하락 불구 최저임금관련 업종에선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유가가 반등했음에도 생산자물가가 4개월 연속 내렸다. 시차를 두고 반영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작년 말 유가 하락 여파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하지만 최저임금 상승 영향으로 서비스 생산자물가는 되레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19년 1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3.75(2010년=100 기준)로 한 달 전보다 0.2% 내렸다. 생산자물가는 4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5년 7월∼2016년 1월 이후 최장 기간 연속 하락이다.

강창구 한은 경제통계국 팀장은 "1월에 유가가 오르긴 했지만 생산자물가에 유가 상승이 당장 반영되지 않는다"며 "아직 작년 11∼12월 유가의 큰 폭 하락이 물가에 반영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내리며 공산품 생산자물가는 전월대비 0.6% 하락했다. 석탄 및 석유제품 중에서도 벙커C유(-9.0%), 제트유(-12.7%) 등 정제유 하락 폭이 두드러졌고, 열연강대 및 강판(-3.6%), 슬래브(-1.8%) 등 1차 금속제품 물가도 줄줄이 내렸다.

하지만 최저임금 영향으로 서비스 생산자물가는 오히려 전월대비 0.4% 소폭 상승했다. 건축물 청소(2.5%), 한식(0.4%), 분식 및 김밥전문점(1.4%) 물가 등이 올랐다. 주로 인건비와 관련이 큰 품목들이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상승 폭은 더 컸다. 한식은 3.2%, 분식 및 김밥전문점은 6.0%, 건축물 청소는 7.8%나 올랐다. 강창구 팀장은 "임대료와 최저임금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 영향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연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